▲매일신문 5월 20일매일신문
그 효과는 참가업체 146개 중 대구 경북 업체가 97개였다는 숫자에서도 나타나고, 또 성서공단 등 섬유기계 생산현장이 인근이어서 전시장 밖에서 제2의 비지니스가 가능했다는 평가처럼 질적 효과의 극대화에서도 나타나는 것이다.
이제 정치가 선진화됨으로써 정치가 경제를 죽이고 살리는 시대를 지나 법률과 규칙에 따른 행정을 펼칠 때다. 이에 따라 시장의 자율적 운영 구조가 정착되면 굳이 산업체의 본사, 산업 관련 이벤트 등이 중앙에 소재할 필요가 없다.
또 동시에 공공기관들도 연관성이 큰 지방에 소재함으로써 행정 효과와 지방 발전이 동시에 실현될 수 있다. 근대화 100년을 위해 겪은 많은 희생과 고통 가운데 특히 지방이 겪은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이런 지방이 대변화의 순간을 맞은 것이다.
그런데 우리 시대가 갖는 그러한 중요성만큼이나 지방분권의 의의를 이 시점에서 되짚어보지 않을 수 없다. 예컨대 민족주의를 생각해보자. 민족주의가 근대국민국가의 형성과정에 커다란 기여를 했는데도 보편적인 가치에 기반을 두지 않을 때에는 여타 민족에 고통을 주는 국수주의 혹은 패권주의로 변한 경우가 흔히 있었다.
지방분권도 마찬가지다. 그 긍정적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보편적 가치에 기반을 둔 것이어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고 확산되어 갈 때, 각 지역 간의 사고와 정서의 차이가 날로 심해지고, 지역 내에서도 특정 이해집단이 지방분권을 자기네들의 이익을 위한 이데올로기로 사용할 여지도 충분히 있다. 그 경우 지방분권은 나쁜 의미의 '지역주의'가 될 뿐이다.
지방분권이 지역내 소수 세력의 기득권을 강화하는 결과를 낳아서는 안 되고, 또 그런 기득권을 감춘 채 지역과 지역 간의 분쟁 양상으로 외화되어서는 더더욱 곤란하다.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에 대해 <영남일보>가 사설에서 쓴 것처럼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것인 만큼 지역적으로나 행정적으로 치우침이 없어야'함은 분권시대를 맞는 우리의 지침이 되어야 한다.
그러자면 분권시대를 맞는 우리의 보편적 가치근거를 모색해야 하며 그것은 바로 소수 기득권 집단이 아닌 시민사회의 요구에서 찾아야 한다.
시민들의 목소리는 때로는 지난번 전국을 휘감은 촛불행사 같이 직접 표출될 때도 있고, 또 때로는 시민운동 혹은 시민단체를 통해 표현될 때도 있다. 서구에서 시민운동의 발생사에 관해서는 다양한 견해들이 있지만 특히 1970년대 이후 정부 역할의 축소 이후에는 정치사회가 포괄하지 못하는 많은 영역에서 시민운동이 시민들의 목소리를 대변한다는 평가가 일반화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