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극한 아름다움은 그 자체가 도(道)

영주 순흥면 성혈사 나한전 꽃살문 이야기

등록 2004.05.27 15:30수정 2004.05.28 21:03
0
원고료로 응원
영주시 순흥면 소재지를 벗어나자마자 삼거리가 나온다. 이 중에서 순흥면 쪽으로 난 길은 풍기나 영주로 가는 길이다. 나머지 두 갈래 길 중 오른쪽으로 난 길은 소수서원과 부석사로 가는 길이며, 왼쪽으로 난 길로 접어들면 성혈사로 가는 길이다.

죽계 저수지 지나서 한참 더 가면 폐교된 초등학교가 있는 배점리가 나오는데 여기서도 성혈사가 있는 덕현마을까지는 십리 길이 넘는다. 누가 심어 놓았는지는 알 수 없지만 길가 밭둑에서 길가로 무더기로 덩굴을 뻗고 있는 구기자 나무도 눈에 띄고 두충나무들이 빼곡히 서 있는 작은 숲도 만나게 된다.


덕현마을에 거의 다 가서야 성혈사 가는 길을 표시해주는 첫 이정표를 만난다. 화살표가 가리키는 대로 사과밭 사이로 난 언덕길을 따라 오른다. 사과밭이 끝나면 오솔길이 이어진다. 문득 뻐꾸기 소리가 들려온다. 소리를 들어보니 아마도 득음의 경지에 들어선 놈인가 보다. 목청이 걸걸한 게 들을 만하다. 찔레꽃도 이에 뒤질세라 내 코끝에다 솔레솔레 제 향기를 풍겨준다.

그래서인지 오월의 산길에는 적막이 없다. 꽃을 바라보거나 새소리 따위를 듣거나 하다보면 적막은 저절로 사라지고 만다. 그런 것들과 동행하는 발걸음도 가볍기 그지없다. 그렇게 한 오리쯤 더 갔을까. 그제서야 소백산 자락에 머리카락 보일까봐 꼭꼭 숨은 절 성혈사가 빠끔히 고개를 내민다. 마치 “용케도 잘 찾아냈수!” 하고 무뚝뚝하게 인사말 한 마디를 내어놓는듯 하다.

성혈사는 소백산 국망봉 아래 월명봉 동남쪽 기슭에 자리한 절이다. 신라 때 의상 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데 성혈사란 이름은 절 아래에 있는 암굴에서 성인이 나왔다 해서 붙은 이름이라 한다.

성혈사 나한전
성혈사 나한전안병기
들머리에 있는 법당을 그냥 지나쳐서 언덕받이에 있는 나한전으로 먼저 갔다. 1985년 보물 제 832호로 지정된 나한전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아담한 건축이며 옆면에서 바라볼 때 사람 인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다.

자연석으로 기단을 쌓았는데 맨 위 한 단을 화강암으로 마감했다. 그 위에다 자연석 초석을 놓은 다음 기둥을 세웠는데 한참을 들여다보아야 겨우 알 수 있을 정도로 아주 약한 배흘림이다.


절의 문살을 이루는 나무의 재질은 거의가 춘양목이다. 춘양목은 경북 봉화군 춘양면 일대와 태백산맥 등에 분포돼 있는 소나무로 봉정사 극락전이나 부석사 무량수전도 이 춘양목으로 지었다.

꽃살문을 만들 때는 백년에서 삼백년 가량된 이 춘양목 가운데서 고른다. 한 나무에서도 북쪽을 보고 자란 쪽을 쓰는데 그것은 북쪽을 보고 자란 부분이 나이테가 촘촘하게 박혀서 형태가 쉽게 변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나무를 켜서 북남풍이 부는 쪽에서 삼 년간을 말려야 비로소 문살을 만드는 재료가 된다고 하니 결코 쉬운 일이 아님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추측컨대 내가 이 나한전 마당에서 올려다 보고 있는 저 꽃살문도 아마 그런 과정을 거쳐서 여기에 존재하고 있을 터다.


통판투조 연지수금꽃살문 (나한전 어간). 법당 안 불단에서 정면 출입문까지 이어지는 가운데 통로를 어간이라 한다.
통판투조 연지수금꽃살문 (나한전 어간). 법당 안 불단에서 정면 출입문까지 이어지는 가운데 통로를 어간이라 한다.안병기
성혈사 나한전 꽃살문은 가운데 어간 2쪽, 좌우 2쪽씩 모두 6쪽으로 된 문이다. 가운데 어간문은 통판투조꽃살문이다. 통판투조꽃살문이란 널판에 꽃무늬나 기타 다른 무늬를 통째로 새겨 문틀에 끼운 것이다. 이와는 다르게 좌우 협간은 솟을빗꽃살문 장식으로 되어 있다.

나한전 앞으로 바짝 다가서서 중간에 위치한 어간 문을 꼼꼼히 들여다 본다. 어간 문살 전체는 연못이다. 그 연못을 연꽃과 연잎으로 가득 채우고 나서 연잎 위 또는 여백에다가 자라 , 게, 물고기, 개구리, 물새 등을 새겼는데 연잎 위에서 노 젓는 동자상이 매우 귀엽다. 문 전체가 하나의 연못이며 문을 들여다 보고 있노라면 마치 연꽃이 가득 핀 연못을 들여다 보는듯 한 느낌이 들게 한다.

통판투조 연지수금꽃살문(부분확대. 연잎 위에서 노젓는 동자)
통판투조 연지수금꽃살문(부분확대. 연잎 위에서 노젓는 동자)안병기

통판투조 연지수금꽃살문 (부분확대. 게 )
통판투조 연지수금꽃살문 (부분확대. 게 )안병기
정토종의 삼부경 가운데 하나인 관무량수불경(觀無量壽佛經)이 설하고 있는 극락정토 못물의 풍경을 문살 위에 그대로 재현하고 있는 셈이다. 연잎의 푸른색과 연꽃과 게의 붉은 색이 살아 있던 때의 문살의 색채는 얼마나 아름다웠을까. 목질이 다 드러나 있을 정도로 단청이 퇴색해버린 문살의 현재 상태가 참으로 안타깝기만 하다.

솟을모란꽃살문 (  우협간)
솟을모란꽃살문 ( 우협간)안병기

솟을모란꽃살문(좌협간)
솟을모란꽃살문(좌협간)안병기
우협간 문에는 부귀의 상징인 모란꽃이 새겨 있는데 채 벗겨지지 않고 남아있는 단청의 붉은 색이 애처롭게 다가선다. 좌협간과 우협간 문은 똑같이 빗살의 교차 지점을 관통하는 장상(수직살대)를 첨가한 형태의 솟을빗꽃살문 형태로 빗살문보다 한 단계 더 정교해진 수법을 보여준다.

지극한 아름다움을 담은 것들은 한결같이 슬픔을 배태하고 있다. 성혈사 나한전 문살에서도 그랬다. 지극한 아름다움과 슬픔을 동시에 만난다. 그러니까 나한전 문살은 그 문살을 조각한 한 장인의 영혼으로 들어가는 또 하나의 문이다.

내가 만난 그는 마음 속에 눈물이 가득 고인 사람이었다. 삶의 내용은 부질없고 고달프건만 극락정토 가는 길은 아득히 멀기만 하다. 그는 자신의 슬픔을 조금씩 꺼내어 이 문살에다 투조한다. 결국 내가 바라본 것은 문살이 아니라 문살을 조성한 장인의 마음의 결이자 무늬였던 것이다.

나한전 16나한상
나한전 16나한상안병기
문을 열고 나한전으로 들어가면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석가의 뛰어난 제자였던 16 나한이 모셔져 있다. 임진왜란 이후 중건된 것으로 알려진 이 건물은 내외 이출목(二出目)의 공포를 기둥과 기둥 사이의 평방 위에 짜 얹은 다포식(多包式) 건축으로 소박한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나한전 앞 석등
나한전 앞 석등안병기
나한전의 앞마당에는 얼굴은 호랑이상이며 몸체는 용 문양이 화사석을 받치고 있는 석등 2기가 있다. 성혈사의 역사를 좀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이 절의 유일한 스님이신 덕현 스님에게 절의 역사에 대해 물어봤지만 자신은 이 절에 온 지 얼마 되지 않아 잘 모르겠노라는 대답이 돌아올 뿐이다.

방치된 요사채 건물
방치된 요사채 건물안병기
내가 본 성혈사는 짓다만 당우들, 쇠락한 요사채 등등 살림이 매우 궁핍해 보이는 절이었다. 이런 저런 이유로 행여 성혈사 나한전의 문살들이 무관심 속에 방치되지 않을까 염려스러웠다.

그저 아름다운 나한전 문살들을 좀더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보존하여 오래 오래 그 아름다움을 잃지 않기를 바라면서 언덕을 내려섰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2. 2 의사 아빠가 죽은 딸의 심장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 의사 아빠가 죽은 딸의 심장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
  3. 3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4. 4 남편 술주정도 견뎠는데, 집 물려줄 거라 믿었던 시댁의 배신 남편 술주정도 견뎠는데, 집 물려줄 거라 믿었던 시댁의 배신
  5. 5 [단독] 조은희 "명태균 만났고 안다, 영남 황태자? 하고 싶었겠지" [단독] 조은희 "명태균 만났고 안다, 영남 황태자? 하고 싶었겠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