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 <매일신문> 우 <영남일보>
그러나 ‘준공영제’란 단순히 적자인 버스 회사에 지원금만을 지급하는 제도가 아닙니다. 오는 7월 1일부터 이 제도가 시행되는 서울의 예에서도 알 수 있듯이 ▲노선체계 ▲운영체계 ▲요금체계 개편 그리고 서비스 평가 및 근로자 처우개선 등 대중교통체계의 전반적 변화와 맞물려 있는 제도입니다. 때문에 서울에서도 7년이란 준비 기간을 거쳤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 제도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우선적으로 버스업체의 투명성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지금 대구버스업체들은 올해 시의 지원금 196억원을 지급 받고도 연간 370억원의 적자가 발생한다는 이해하기 어려운 주장을 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때문에 교통카드 활성화로 현재 65% 수준인 버스요금 현금 사용을 10%미만으로 낮춰 업체의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사정이 이러한데도 <매일신문>은 예산 확보에 초점을 맞춘 보도를 할 뿐 업체의 경영 투명성에 대해서는 크게 주목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영남일보>는 ‘준공영제’와 관련, 5월 27일과 28일 <‘연례행사’ 버스파업 해결책 없나 (상ㆍ중)>이란 기획 기사에서 앞서 언급한 교통카드 활성화를 통한 버스업체의 투명성 확보는 물론이고, 6대 광역시 가운데 가장 영세한 지역의 버스업계 상황을 중점 보도함으로써 인수 합병을 통한 영세성 탈피 등 업체들의 자구 노력의 중요성 또한 부각시켰습니다.
더 나아가 ‘서울에서 하니깐 우리도 한다’는 식의 준공영제 도입에 있어, 영국과 홍콩의 실패한 사례를 들어 문제점을 제기하며 서울과 달리 재정 자립도가 낮은 대구에 맞는 버스운영체계를 강구할 것을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공동배차제와 노선입찰제 그리고 준공영제와 공영제 등 독자들에게 조금은 낯선 용어들에 대해서도 각기 장점과 단점을 도표화해 독자들이 이해하기 싶게 보도했습니다.
버스 파업이 9일만에 극적으로 타결됐습니다. 기껏 길어봐야 하루를 넘기지 않았던 예전과는 많이 다른 상황이었습니다. 이런 때일수록 지역신문의 보도 태도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