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23일 소개된 고종황제 가족사진 - 사진에 있는 인물은 좌로부터 의왕(義王)[이강(李堈). 고종의 다섯째 아들], 순종, 덕혜옹주[고종의 외동딸], 영왕(英王)[이은(李垠). 고종의 일곱째 아들], 고종, 순종의 비인 순정효황후 윤대비, 의왕비인 덕인당 김비, 의왕의 큰아들 이건이다
지난 4월 국내 언론에 고종 황제의 가족사진 한 장이 소개된 바 있다. 보도에 따르면, 이 사진은 고종의 다섯째 아들인 의왕의 11번째 아들 이석씨(63)가 소장해온 것으로, 그간 공개된 적이 없다고 했다. 또 사진 촬영시기는 1915년경 영왕의 일시 귀국을 기념해 창덕궁 인정전에서 찍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번에 공개된 사진에는 무언가 석연찮은 점이 적지 않다. 우선 이미 오래전에 공개된 듯하다. 실례로 서울역사박물관에서도 이 사진을 확인할 수 있다.
무엇보다 이 사진은 합성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사진이 공개된지 한달 뒤인 5월 7일자 <동아일보>에서는 이 사진의 합성 가능성을 거론했다. 비단 <동아>의 기사가 아니더라도 사진을 보면서 뭔가 이상하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많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무엇이 이상한가? 우선 필자가 알고 있는 군복차림의 영왕의 독사진과 이번에 공개된 사진 속의 영왕의 모습이 너무나도 똑같다는 점이다.
고종 황제 가족사진, 합성 가능성 크다
합성 가능성을 언급한 <동아> 기사에 따르면, 이 사진은 원본을 다시 확대해서 찍은 가로 35.5cm , 세로 25cm 크기의 복사본일 가능성이 높다. 참고로 서울 역사 박물관에 있는 사진의 크기는 가로 24.4cm , 세로19.2cm 이며, 이석씨는 가로 15cm, 세로 10cm 정도 크기의 원본을 1980년대에 미국에 살던 사촌형에게서 전해 받았다고 한다. 그리고 1998년경 사진작가 허종태씨에게 의뢰해 당시 서울 강남구 신사동 허스튜디오에서 표구를 위해 확대 복사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원본은 이석씨가 미국 체류중이던 1990년대 후반에 도둑 맞았고 원본을 보았을 허종태씨는 1998년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다. 허씨의 유족 및 그와 함께 허스튜디오에서 일했던 사람들은 허씨가 그런 작업을 했는지는 알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 사진이 출현하게 된 상황을 보면 여기 언급된 '원본'이라는 사진도, 이를 확인해 줄 만한 사람도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또 역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사진과 크기가 다른 것으로 봐서 원본으로서의 진위 여부 판명도 쉽지는 않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만약 이 사진이 합성이라면 원본이나 복사본 모두 합성일 수 있다는 이야기가 성립된다. 그렇다면 사진의 어떤 부분이 이상하고, 만약 합성이 되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동아>의 기사와 필자의 의견을 종합해 정리해 본다.
첫째 의문점은 빛의 방향이 어색하다는 점이다. 인물별로 빛의 밝기나 각도, 그리고 명암이 조금씩 다르다.
둘째, 사진 촬영 당시 영왕(1897~1970)은 조선에 있었는가? 영왕은 1907년 12월 5일 이토 히로부미를 따라 일본 유학을 떠난다. 영왕이 1911년 7월 생모인 엄비가 숨졌을 때와 1918년 1월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을 때, 두 차례만 조선에 왔다고 기록되어 있다(1981년 김을한의 <인간 영친왕>과 1998년 송우혜의 <마지막 황태자>의 <동아일보> 발췌글 참조). 이는 영왕이 나라를 떠난 1911년 이후 거의 7년 동안은 돌아오지 않았음을 말해 준다.
셋째, 촬영 연도가 1915년이 맞는가 하는 점이다. 덕혜옹주는 환갑을 맞은 고종(1852~1919)이 후궁인 양귀인((梁貴人)에게서 1912년에 본 외동딸이다. 사진의 제공자의 촬영 추측년대로 보면 사진 속 덕혜옹주는 만 3세인데 여기 보이는 덕혜옹주는 전혀 그렇게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1913년 돌 때 찍은 사진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데 그 때의 다른 돌 사진과 유사한 점이 많아 보인다.
넷째, 촬영 장소인 창덕궁 인정전이 맞는가 하는 점이다. 배경을 좀 자세히 보면 검은 천막이 내려져 있다. 그리고 카페트 깔린 바닥은 마치 사진관 스튜디오를 연상케 한다. 이러한 공간 역시 또 다른 의문점을 남긴다.
다섯째, 인물의 배치와 간격이 어색하다. 보통 왕실 사진을 보면 인물간의 간격이나 의전상의 특징이 있게 마련인데 이 사진은 그런 점이 전혀 없다. 영왕이 1918년 귀국해 고종, 순종, 순정효황후, 덕혜옹주와 찍은 사진과 비교해 볼 때 이 사진은 너무 조잡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