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학교 정이사체제 전환 논의 시작

22일 이사회, 특위 구성키로... 구성원 합의가 관건

등록 2004.07.22 20:57수정 2004.07.28 21:11
0
원고료로 응원
학교법인 조선대학교(이사장 강신석)가 관선이사 파견 17년만에 정이사 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했다.

조선대학교 이사회는 22일 오후 회의를 갖고 '정이사 체제 전환'을 연구, 논의하기 위한 특별위원회 구성을 의결했다. 가칭 '조선대학교발전특별위원회'를 구성, 정이사 체제 방식 등에 대한 연구보고서를 작성, 학내 구성원의 합의도출 방법, 추진 일정 등 전반적인 논의를 진행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날 이사회 회의에서는 특별위원회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 등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회의에서 결정하기로 했다.

a 조선대학교 본관 전경. 17년만에 임시이사 체제에서 정이사 체제 전환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지만 넘어야 할 과제가 많다.

조선대학교 본관 전경. 17년만에 임시이사 체제에서 정이사 체제 전환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지만 넘어야 할 과제가 많다. ⓒ 오마이뉴스 강성관

조선대, 정이사체제 전환위해 특위구성

회의에 참석했던 김무영 이사는 "17년째 관선이사 체제로 운영되면서 많은 문제점이 있다는데 구성원들이 인식을 같이 하고 있다"면서 "오늘(22일) 회의에서는 우선 발전특위를 구성하는데 뜻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김 이사에 따르면, 이사회는 지난 4월에도 대학본부 기획실에 정이사 체제 전환에 대한 방안 등을 연구해보라는데 의견을 모은 바 있었지만 별다른 진전이 없었다.

또 김 이사는 "발전특별위원회 구성안에 대해서는 대학자치운영협의회, 대학본부 기획실, 법인 등에서 특위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에 대한 초안을 마련해 다음 회의에서 논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이사회에 앞서 교육인적자원부(장관 안병영) 사학지원과 관계자 2명은 지난 8일 김주훈 총장, 강신석 이사장, 신인현(교수평의회 의장) 대학자치운영협의회 회장 등을 만나 정이사 체제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교육인적자원부 사학지원과 현철환 사무관은 "교육부는 관선이사 체제로 오랫동안 운영돼 왔던 대학들을 대상으로 대학측의 의견을 듣기 위해 해당 학교들을 방문하고 있다"면서 "해당 학교에 대한 실태조사도 했다"고 밝혔다.


조선대학교의 정이사 체제 전환은 교육부의 관선 파견 대학에 대한 정상화 추진계획과 맞물려 있다. 현재 교육부는 관선이사를 파견하고 있는 14개 대학에 대한 정이사체제 전환을 위해 해당 대학의 실정, 대학측의 의견 등을 취합하고 있다.

조선대학교가 교육부의 계획과 맞물려 정이사 체제를 공식적으로 추진하고 나선 것은 굳이 관선이사 체제를 유지할 이유가 없는데다, 책임있는 경영주체 부재로 인해 학교발전을 위한 구심점을 마련하기 어려웠다는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일정 수준 형성됐다는 점이 주효한 것으로 보인다.

특위구성부터 논란 일 듯

지난 8일 교육부 관계자와 정이사 체제 전환에 대한 의견을 나눈 신인현(사범대·교수평의회 의장) 대학자치운영협의회(이하 대자협) 회장은 "조선대는 관선이사 체제 대학 중 가장 오래된 대학이다"며 "그 동안 정이사 체제 전환에 대해 말도 꺼내지 못한 것은 학내 구성원들의 분위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신 회장은 "논의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구성원이 합의다"며 "합의 도출과정을 잘못 가져가면 구성원간 반목으로 큰 혼란을 맞이할 수 있다, 너무 앞서는 말들을 하면 안된다"고 강조하며 조심스러워 했다.

신 회장이 이처럼 조심스러워 하는 것은 조선대학교의 학내 구성원간 이해가 복잡하게 얽혀있기 때문이다. 지난 98년 DJ 정부 초반 당시 교육부장관이 광주광역시청을 방문해, '조선대학교 시립화' 의지를 표명한데 대해 당시 교수협의회와 조선대 노동조합 등은 '시립화저지투쟁위원회'를 구성해 반발하면서 '변죽만 울리'다 생산적인 논의자체가 이뤄지지 않았다.

한편 이날 이사회 회의 자료에는 정이사 체제 전환을 위한 3가지 방식이 제시되기도 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대구 영남대가 정이사체제 전환을 위한 안으로 내놓은 3가지 방안이 언급돼 있다. 영남대의 경우, 지역사회 인사가 이사회에 참여하는 `시민대학안'과 성균관대처럼 대기업이 인수하는 `기업형', 교육부와 설립자, 대학 및 지역사회가 각각 이사 3분의 1씩을 추천하는 `공익재단 모델'을 놓고 검토중이다.

한편 조선대학교는 지난 87년 '학원민주화투쟁'을 통해 박철웅씨 일가를 학교운영 주체에서 배제시킨 이후 88년 2월부터 임시이사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지난 95년 조선대 소유권 소송에서 박철웅씨에게 승소한 바 있다.

조선대 정이사 체제 전환은 그 동안 대외적인 요구가 있었지만 이사회에서 공식 안건으로 다뤄진 것은 처음이다. 정이사 체제의 필요성에서 부터 특위 구성, 그 방식을 둘러싸고 대학구성원간 어떤 합의를 도출해 낼 지 관심이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집 정리 중 저금통 발견, 액수에 놀랐습니다 집 정리 중 저금통 발견, 액수에 놀랐습니다
  2. 2 한전 '몰래 전봇대 150개', 드디어 뽑혔다 한전 '몰래 전봇대 150개', 드디어 뽑혔다
  3. 3 저는 경상도 사람들이 참 부럽습니다, 왜냐면 저는 경상도 사람들이 참 부럽습니다, 왜냐면
  4. 4 국무총리도 감히 이름을 못 부르는 윤 정권의 2인자 국무총리도 감히 이름을 못 부르는 윤 정권의 2인자
  5. 5 "한달이면 하야" 언급한 명태균에 민주당 "탄핵 폭탄 터졌다" "한달이면 하야" 언급한 명태균에 민주당 "탄핵 폭탄 터졌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