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오동 전적지, 왼쪽 산봉우리가 초모정자산으로 그 아래가 중촌 마을이고 저수지 상류 산 아래 마을이 상촌이다.박도
국경도시 도문
제8일 2004. 6. 1. 화. 맑음
연길은 조선족자치주라서 그런지 이곳에 오면 꼭 우리나라 어느 도시에 들른 기분이다. 거리의 간판도 한글이 먼저이고 다음에 한문으로 되어 있다. 이 도시의 주민 중 4할 정도가 조선족이다. 이 도시에서는 굳이 중국말을 몰라도 크게 불편치 않을 정도로 우리말이 통용되고 있다.
연변대학 빈관은 두 번째 묵는 곳으로 퍽 낯이 익었다. 간밤에 푹 잘 잤다. 오늘 일정은 오전에는 봉오동 전적지 일대고 오후에는 용정 시내의 항일유적지를 들르기로 했다.
07: 00. 빈관 찬청에서 간단히 요기를 했다. 곧 김태국 박사가 어제 그 기사를 데리고 빈관으로 왔다. 역사도 지리도 밝고 이곳 사정에도 밝은 특급 안내자였다. 그는 기왕이면 봉오동 전적지를 처음부터 끝까지 답사하자고 했다.
애초 우리들 생각은 도문 두만강변 봉오동 저수지에 있는 봉오동반일전적지 기념비만 보려고 하였는데, 김 박사는 봉오동 전투의 실마리가 되었던 함경북도 종성 강양동의 일제 헌병 초소부터 삼둔자(현 지명 간평)로 후안산 마을, 초모정자산으로, 거기서 봉오동 저수지로 가서 봉오동 중촌과 상촌을 보자고 했다. 그러면 봉오동 전적지는 한 세트로 모두 답사하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