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일보 7월 29일, 8월 11일영남일보
<영남일보>는 7월 27일치 27면 <지하철정비 거의 ‘스톱’>이란 기사에서 “관련 인력 228명 중 198명이 파업 참가 기관사도 피로누적…안전운행 빨간불”이라고 보도했고 또 8월 2일치 27면 <운행중 전동차서 연기…탄 내>란 기사에서 “파업 13일째…‘피로누적’ 지하철 또 사고”라고 보도했다. 그리고 <매일신문>도 8월 3일치 1면 <대처능력 떨어져 ‘안전위협’>이란 기사에서 “지하철 파업 장기화…주정비공장도 폐쇄 검수 인력 평소 4분의1 불과”라고 보도했다.
하지만 공사의 조직 개편안이 실시되면 1호선에서만 차량 인력의 35%가 줄고, 기관사도 23명 줄어 실제 승차 시간이 증가하는 등 “안정운행(에) 빨간불”이 일상화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보도가 없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역 신문들은 안전 문제를 보도하는 데 소홀했다. 이번 파업의 주요 사항인 안전 문제가 부각되지 못한 것도 언론의 이런 보도 태도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끝으로
대구지하철공사는 조직개편안을 통해 약 48억5천만원을 절감할 수 있다고 한다. 연간 운영 적자의 10% 수준이니 적지 않은 돈이다. 또 정부에서 지하철 부채 상환 지원은 지자체의 중장기 부채상환 및 경영개선계획의 연차별 이행여부에 상응하여 시행한다고 하니 시와 공사로서는 불가피한 측면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시민들의 안전을 소홀히 하기에는 턱없이 적은 돈이 아닐까. 1년 전을 생각해 보자. 2ㆍ18참사로 현장 복구비만 516억원이 쓰였다. 또 직ㆍ간접적 피해를 고려하면 그 규모가 7천억원이 넘는다는 주장도 있다. 그렇지만 희생자와 가족들 그리고 대구 시민이 받은 고통은 돈으로는 환산할 수 없는 실로 엄청난 것이었다.
아직도 우리는 지하철 타기가 겁이 난다. 작은 사고에도 새가슴이 돼 조바심을 친다. 대구시민의 이런 불안감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는 이유다. 적자도 안전이 뒷받침되어야 가능하다. 대구시와 공사는 이런 점을 감안해 새로운 대안을 찾길 바란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