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옥 이현주 목사.박철
내가 관옥(觀玉) 이현주 목사를 처음 알게 된 것은 1979년이다. 당시 관옥은 동해안 죽변 교회에 계셨다. 철필로 공들여 쓴 교회주보를 통해 이현주 목사 이름을 처음 대했다. 나는 관옥의 삶을 좀더 가깝게 느껴 보기 위해 그 분의 책을 다 구해 읽었다.
조촌에서 그 유명한 모과주 사건으로 고민하다 그 곳을 떠나기로 결심하고 쓰신 편지도 어떻게 해서 나에게까지 전달되어 읽을 수 있었다. 그 무렵 내가 신학교 다니던 시절에 교지 편집위원을 하면서 관옥의 글을 받아 싣게 되는 행운도 얻게 되었다.
그때 관옥의 글 가운데 이런 대목이 있었다.
"목회자가 섬길 대상은 교회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시다. 이 점을 처음부터 분명하게 확인해 두지 않으면, 쉽사리 교회를 위한 종으로 전락하게 되고 마는 것이다. 그것은 곧장 교회의 신격화를 초래하고 목사는 교회라는 우상을 섬기는 바알의 제사장이 되고 마는 것이다. 목회는 더불어 사는 것이다. 하느님과 더불어, 그리고 인간들과 더불어 살면서 때로는 하늘의 언어를 인간에 통역도 해 주고, 때로는 인간의 앞에 서서 안내도 해 주고, 때로는 뒤에 서서 밀어 주고, 그리고 언제나 그들 복판에 서서 함께 걸어가며 함께 고민하고 함께 희망하는 그것이 목회다."
관옥은 수많은 저술 활동을 하셨는데, 책방에 책이 나오는 대로 구해 읽었다. 책뿐만 아니라 여기 저기 잡지에 실린 글들도 다 찾아 읽었다. 그때까지 만해도 관옥을 한 번도 뵌 적이 없었다. 그래서 뵌 적은 없었지만 애인처럼 흠모하게 되었다. 관옥 이현주 목사의 글에서 나는 그 분을 바람처럼 한 곳에 머물지 않고 자유로운 분으로 느꼈다. 그 느낌이 편안하고 좋았다.
관옥이 직접 써서 만든 주보의 지렁이 같이 꼬불꼬불하고 다정한 필체가 마음에 들어 한동안 필체를 모방하기도 했다. 80년대 중반 강원도 정선에서 첫 목회를 시작한 후 드디어 오매불망하던 관옥을 직접 뵙게 되었다. 처음 관옥 이현주 목사를 뵙게 된 때가 1986년 8월초였다.
내가 목회를 시작하면서부터 활동한 '감리교농촌선교목회자회'에서 관옥을 강사로 초청했던 것이다. 글과 말은 사뭇 달랐다. 관옥의 말은 조금 어눌한 듯했다. 그래도 당신이 하고 싶은 말씀은 다 하신다. 묘한 매력을 준다. 작은 텐트 안에서 선배들 틈에 끼어 밤을 꼴딱 새우며 새벽까지 얘기를 나누게 되는 행운도 가졌다. 그 후에도 여러 번 관옥과의 만남이 있었다.
1992년 겨울, 계룡산을 등산하려고 수원에서 버스를 타고 대전에서 내렸는데 등 뒤에서 누가 나를 부르는 것이었다. "박철 목사, 자네가 여기는 웬일인가?" 관옥 이현주 목사셨다. 그 때 처음으로 관옥이 내 이름을 불러 주신 것이다. 너무 고마웠다. 그 일을 계기로 나는 그 분을 내 스승으로 모시기로 작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