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청계천을 다시 보다

박태원의 <천변풍경>을 읽고

등록 2004.08.26 14:26수정 2004.08.26 18:47
0
원고료로 응원
박태원의 <천변풍경>
박태원의 <천변풍경>도서출판 빛샘
2004년 서울에서는 청계천 복원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21세기 문화 환경도시 서울건설'이라는 의의로 진행하고 있는 이 사업은 시행초기부터 적지 않은 논란이 있었지만 청계천은 머지 않아 새로운 모습으로 태어날 전망이다.

그렇다면 예전의 청계천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박태원의 <천변풍경>에서는 1930년대 청계천을 다시 볼 수 있었다. 신작이 아닌 이미 낡은 소설을 다시 꺼내 읽은 것은 아마도 예전의 청계천 모습을 보고 싶었던 작은 바람이었던 것 같다.


이 작품은 1936년 8월부터 10월, 1937년 1월부터 9월까지 두 차례로 걸쳐 <조광>이라는 잡지에 연재되었던 장편소설이다. 박태원의 <천변풍경>은 어느 해 2월 초부터 다음 해 정월까지 사계절에 걸쳐 청계천 주변의 풍속을 치밀하게 묘사하고 있다. 이 작품은 특정한 주인공도, 중심적인 플롯도 마련되어 있지 않은 장편소설이다.

사실 소설에서 주인공과 플롯은 당연히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이 작품은 이러한 상식에 일침을 가한다. 이렇다 할 플롯이 없는 이 소설의 맨 마지막 장을 닫는 순간 밀려든 감동은 아직도 가슴을 뛰게 한다.

이 작품은 30년대 도시의 모습, 정확히 말해 청계천 주변 중하류층 도시 생활의 풍속과 습관을 묘사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작품에서 드러나는, 혹은 쉽게 도출해 낼 수 있는 현실 극복 의지를 이 작품에서 찾아내기란 힘들다.

이것이 이 작품의 큰 특질 중의 하나로 생각되는데, 박태원은 '보여주기'에만 충실하다. 그렇다면, 이 작품에서 보여주기란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일까?

쉽게 이 작품에서 보여주기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말하기 전에, 이 작품은 영화에 가까운 소설이다. '영화에 가까운'이란 표현이 적절치 않다면 영화적인 소설이라 말해도 좋다. 이 작품은 다양한 지점에서 찍은 짧은 숏들로 구성되어 있고, 그 숏들이 일정한 순서에 의해 결합된 작품으로 보인다.


이러한 방식을 흔히들 빠른 속도의 '몽타주', 혹은 미국식 몽타주라 부르는데 이 작품은 이러한 점이 단연 돋보인다. 또, 영화와 소설의 차이점에 일침을 가하는 작품이라 생각된다. 필자는 한동안, 혹은 지금까지도 소설이 우수한가, 영화가 우수한가라는 헛된 질문에 빠져있(었)다.

그런데 이 작품에서는 영화에 가까우면서도 영화와는 다른, 그러면서도 일반적인 소설과는 또 다른 맛을 보여주고 있다. 때론 지루한 만연체를, 때론 간결한 묘사를 보여준다.


또, 청계천 주변의 세계를 어떻게 보여주느냐라는 물음의 중심에 영화 제작의 카메라, 아니 박태원의 시각이 있는 듯하다. 자유자재로 움직이며, 마치 한 편의 파노라마 영화를 보여주는 듯한 이 작품에는 실제 영화적 기법이 차용되어 있는 듯하다.

이 작품이 일정한 플롯 없이 작품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소시민들의 일상성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우리의 삶이 어떠한 규칙이나 순환구조를 띄지 않으면서도, 부딪히고 때론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것이라 할 때 이 작품은 이러한 삶의 일상성을 잘 묘사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그저 불규칙한 삶의 모습이 아니라 보다 큰 틀에서 새로운 계절이며, 같은 계절로 돌아오는 시간의 반복성을 통해 청계천변의 변함없는 삶을 묘사해 내고 있다.

20세기 초 청계천 및 수표교
20세기 초 청계천 및 수표교청계천복원추진본부
2004년의 서울은 청계천 복원사업이 한창 진행 중이다. 설계도에 나와 있는 청계천 복원도와 1930년대의 박태준의 소설 속의 청계천이 얼마나 닮아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당시의 삶과 지금의 우리 삶에는 차이가 크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가장 큰 차이가 당시의 여성들과 지금의 여성들의 삶이라 할 수 있는데, 이 작품에는 여성들이 모진 수모를 당하고 있는 모습이 생생히 드러나 있다. 아마도 일제치하라는 특수한 역사적 상황과 봉건의 시대에서 현대로 옮아가는 근대라는 특수한 시간적 상황에서 수모를 당했던 여성들의 문제를 잘 드러내고 있다.

아마도 제목에 드러난 천변, 청계천변의 지리적 상황 또한 이러한 봉건시대와 현대의 중간지대를 의미하며, 그러한 중간지대에 박태원의 소설이 서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소설가 박태원은 누구인가?
한국전쟁 당시 월북한 작가 중 한 명

190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경성제일고보를 거쳐, 도쿄 호세이대학에서 수학하였다.

1926년 <누님>이라는 시로 문단에 들어섰으나, 본격적인 작품 활동은 그의 소설 등단작인 <수염>을 발표하면서 부터이다.

1933년 구인회에 가담한 이후 반계몽, 반계급주의문학의 입장에 서서 세태풍속을 착실하게 묘사한 <소설가 구보씨의 1일> <천변풍경> 등을 발표함으로써 작가로서의 위치를 굳혔다.

1930년대 잠시 친일행각을 했던 것으로 알려져있고, 해방 후 민족문학의 모색이란 시대적 요청에 맞게 역사소설과 전기문학에 힘썼다.

한국전쟁 중 동료작가의 권유로 월북했고, 월북직후 북한 국립고전예술극장의 전속작가, 평양전문대학의 교수를 역임했다. 북한 최고의 역사소설로 불리는 3부작 <갑오농민전쟁> 등의 역사소설을 집필했으며, 1984년 7월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 박성필

천변풍경 - 박태원 장편소설

박태원 지음, 장수익 엮음,
문학과지성사, 2005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2. 2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3. 3 의사 아빠가 죽은 딸의 심장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 의사 아빠가 죽은 딸의 심장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
  4. 4 "나는 폐허 속을 부끄럽게 살고 있다" 경희대 시국선언문 화제 "나는 폐허 속을 부끄럽게 살고 있다" 경희대 시국선언문 화제
  5. 5 미국에 투자한 한국기업들 큰일 났다... 윤 정부, 또 망칠 건가 미국에 투자한 한국기업들 큰일 났다... 윤 정부, 또 망칠 건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