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산 수락 반딧불이 맞이 행사, 성황리에 마쳐

되살아난 반딧불이...자연과 인간은 하나

등록 2004.09.06 12:38수정 2004.09.08 16:47
0
원고료로 응원
늦반딧불이. 크기는 약1cm정도이고 불을 항상킨채로 비행을 하며 암컷(등이붉은것)은 날개가없어 날지를 못하고 풀잎위로 올라와 불을켜 수컷을 유인함. 배아래 흰줄부분이 발광하는부분
늦반딧불이. 크기는 약1cm정도이고 불을 항상킨채로 비행을 하며 암컷(등이붉은것)은 날개가없어 날지를 못하고 풀잎위로 올라와 불을켜 수컷을 유인함. 배아래 흰줄부분이 발광하는부분임성식
자연보호논산시협회에서는 지난 4일(토) 오후 2시부터 늦은 저녁 9시까지 논산시 벌곡면 수락리에서 반딧불이 맞이 행사를 가졌다.

이 자리에는 논산를 비롯해 전국에서 모인 청소년, 일반시민 등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반딧불이 맞이 행사와 함께 자연정화활동, 가족노래자랑 등 다채로운 행사가 열렸다.


비행반딧불이를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환호하는 어린이
비행반딧불이를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환호하는 어린이임성식
초·중·고생들에게 청정지역에서 되살아난 반딧불이의 생태에 관한 새로운 지식을 전수하고 자연의 신비함을 체험하게 한다는 목적으로 열린 이 행사에서 학생들은 자연의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었고, 어른들은 유년시절 반딧불이를 가지고 놀던 추억과 동심의 세계로 잠시 돌아갈 수 있었다.

반딧불이는 오염되지 않은 청정지역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환경부에서는 멸종위기 곤충으로 천연기념물 제322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가족노래자랑 및 장기자랑
가족노래자랑 및 장기자랑임성식
지금은 오폐수 배출, 차량 및 가로등 불빛 때문에 자연생태계가 파괴되어 좀처럼 주변 환경에서는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오정근 자연보호중앙회 도협회장은 '반딧불이 부활은 환경되살기'라는 인식 아래 대둔산도립공원 자락에 위치한 논산시 수락에서 해마다 이 행사를 개최해 가로등불빛 억제 등 환경친화적 사업에 앞장서고 있다. 여기에 힘입어 지금은 이곳에서 늦반딧불이를 다시 볼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자연보호 논산시협회에서는 이날 행사 체험 수기를 이번 달 말까지 참가 학생을 대상으로 공모해 우수작에 상품권을 증정할 계획이다.

[참고]반딧불의 특징

▲ 반딧불이
◆ 스스로 빛을 내는 야행성 곤충


동심(童心)과 그리움 무더운 여름밤! 어른들은 누구나 유년시절에 반딧불을 쫓아 개울가를 뛰어 다녔고 반딧불을 가지고 놀았던 추억을 가지고 있다. 반딧불을 박꽃속에 넣어 반디등불을 만들어 보았고 반짝이는 똥구멍을 잘라내어 이마에 짓눌러 문지르고 귀신놀이를 했던 기억이 있다. 수양대군도 어릴적 반딧불의 추억을 잊지 못해 백성들에게 반딧불이를 잡아오라 하여 여름밤에 수백섬을 경화궁 앞뜰에 풀어 그 장관을 즐겼다고 한다.

행복(幸福)과 희망(希望) 고대 로마에서는 이룰 수 없는 공상적인 행복을 밤하늘 별에 비유했고 노력해 손에 질 수 없는 현실적인 행복을 밤하늘의 반딧불에 비유했다. 옛날, 전쟁에 나갈 때 병사들의 필수 휴대품이 반딧불로 만든 무위환(武威丸)이었는데, 반딧불이는 벽사(擘邪)의 힘이 있어 병귀, 액귀, 궁시(弓矢)를 피해 목숨을 보전해 주는 것으로 알았으며 반딧불이를 양피속에 넣어 당에 묻으면 말들이 달려 오다가 비명을 지르고 되돌아간다고도 알았다.


의약품(醫藥品) 칠석날 잡은 반딧불이로 만든 고약은 백발을 흑발로 만든다 하여 옛부터 의약품으로 이용되어 왔고, 현대에도 반딧불이 체내의 발광물질인 루시페린이 의학연구 대상으로 활용되고 있다.

◆ 깨끗한 자연환경에 서식하는 애반딧불이와 늦반딧불이

현재 지구상에는 북극과 남극을 제외한 전세계에 걸쳐 1900여종의 반딧불이가 서식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북방반딧불이, 애반딧불이, 파파리반딧불이, 운문산반딧불이, 꽃반딧불이, 늦반딧불이 등 6종이 서식하며, 특히 무주(茂朱)에는 깨끗한 자연환경과 먹이 사슬에 서식이 좌우되는 애반딧불이와 늦반딧불이 2종이 어느 지역에서나 서식하며 최근 파파리반딧불이가 무주읍 일원에서 출현하고 있다.

- 애반딧불이(Luciola lateraiis Motschulsky)는 수서종(水棲種)으로 애벌레는 깨끗한 물에서만 살며 육식종으로 다슬기 등을 먹고 산다. 유충과 성충은 몸의 끝배마디에 발광기를 갖고 있고, 성충은 6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 많이 날아 다닌다. 애반딧불이의 먹이가 되는 다슬기는 강바닥의 돌멩이에 붙어 사는 부착성 규조류 등을 먹고 산다. 애반딧불이의 특징으로 몸체의 길이는 10~13㎜이며 한반도 전역에 분포한다.

암.수 모두 날개가 있어 날 수 있으며 풀숲에 붙어 약하게 발광하는 것이 암컷이고 강하게 발광하면서 접근하는 것이 수컷이다.

- 늦반딧불이(Lychnur is rufa olivier)는 애반딧불이보다 몸이 좀 크고 발광도 더 강한 육서종(陸棲種)으로 슾한 숲 안에 사는 달팽이류와 고동류를 잡아 먹고 살며 성충은 8월 중순부터 9월 중순에 걸쳐 많이 날아 다닌다. 늦반딧불이의 특징으로 몸체의 길이는 15~18㎜이며 한반도 전역에 분포한다.

암컷 성충은 날개가 퇴화되어 전혀 날 수 없어 풀 포기를 타고 올라와서 빛을 깜빡거리면 위를 날던 수컷이 내려와 암컷에 접근한다. / 출처-무주반딧불축제제전위원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평범한 사람들이 만들어나가는 주변 이야기를 통해 시민참여에 동참하고자 합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2. 2 사유화 의혹 '허화평 재단' 재산 1000억 넘나 사유화 의혹 '허화평 재단' 재산 1000억 넘나
  3. 3 중학교 졸업여행에서 장어탕... 이건 정말 '세상에 이런 일이' 중학교 졸업여행에서 장어탕... 이건 정말 '세상에 이런 일이'
  4. 4 남자선배 무릎에 앉아 소주... 기숙사로 가는 내내 울었다 남자선배 무릎에 앉아 소주... 기숙사로 가는 내내 울었다
  5. 5 [단독] 조은희 "명태균 만났고 안다, 영남 황태자? 하고 싶었겠지" [단독] 조은희 "명태균 만났고 안다, 영남 황태자? 하고 싶었겠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