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텃밭오창경
이른 새벽, 아직 나는 잠에 빠져 있기는 하지만 밖에서 우리 개들이 짖는 소리가 꿈결같이 들릴 때는 우리 집에 누가 살짝 다녀가는지 알고 있습니다. 우리 집 텃밭에 배추와 무 등의 김장 채소를 심은 옆집 할머니가 밤새 배추가 얼마나 자랐는지 벌레가 뜯어 놓지는 않았는지 보러가는 것입니다.
우리 집 텃밭에 함께 농사를 짓기로 한 옆집 할머니는 이렇게 하루에도 몇 번씩 우리 텃밭을 오가며 우리 몫의 밭일까지 돌봐 주십니다. 놀고 있는 우리 텃밭에 김장거리를 심자고 앞장 선 옆집 할머니의 요즘 살아가는 유일한 낙이 이 텃밭의 채소를 손주 키우듯이 돌보며 무엇을 더 심을 것인지 구상하는 것이랍니다.
옆집 할머니는 농사일에서는 진작에 은퇴를 했지만 작년까지만 해도 모시를 짰습니다(한산 모시장이 우리 바로 옆 동네이기 때문에 우리 근동에는 아직도 모시를 짜는 아낙네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체력이 부쩍 떨어져 더 이상 모시 틀에 올라앉을 기력도 없어서 그나마 모시 짜기에도 손을 놓았습니다.
평생을 습관처럼 해오던 농사일에도, 모시 짜기에도 손을 놓은 옆집 할머니는 한동안은 정신적 공황상태를 겪으셨습니다. 그러던 차에 우리가 놀리고 있는 텃밭을 발견한 것입니다.
"밭에 또랑(도랑)을 안 쳐줘서 어제 밤 비에 씨 뿌린 거 다 씻겨 내려가는 줄 알고 잠도 설치고 새벽같이 나와서 또랑쳤다니께."
"아이 참, 병 나면 어쩌시려구요. 삽질 같이 힘든 일 할 때는 저를 부르시지 그러셨어요.”
"농사는 아무나 짓는 줄 아남? 배추 심어놓고도 한 번도 안 나와 보구선."
우리가 처음부터 농사일에 관심을 안 가진 것은 아닙니다. 농사짓는 일로 혹독한 시련을 겪었기 때문에 두려워하는 것이지요. 전원생활에 대한 동경으로 시골 마을에 첫 발을 디딘 5 년전, 우리는 천 평의 땅을 임대해 고추를 심었습니다. 시골 생활에 대한 적응의 한 방법으로 농사를 해보기로 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