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수도 이전지역인 공주시 장기면 일대김갑수
지난 8월 10일 언론에 '민주노동당, 행정수도 이전 반대당론 확정'기사가 보도되면서 민주노동당은 홍역(?)을 치렀다. 이어서 11일 '최종 당론이 아니다'는 민주노동당 중앙당의 성명이 있었고 다시 12일 민주노동당 충청권 대책위는 기자회견을 열고 '노무현 정권식의 행정수도 이전 반대'를 주장했다. 보도를 접한 국민들은 민주노동당의 반대-찬성-다시 반대라는 태도 변화에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었다.
이로써 행정수도 이전문제에 대한 충청권 시민단체와 민주노동당의 의견차가 분명해 지는 듯 했다.
하지만 지금 충청권 대책위의 주장은 "찬ㆍ반에 대한 아무런 입장도 결정되지 않은 상태"다. 민주노동당 충남지부 안병일 사무처장에 따르면 "10월 11일 행정수도 이전에 대한 충남지부 당원 토론회가 있을 예정이며 12일에는 당중앙위원회에서 공식적인 입장이 정리가 될 예정"이라고 한다.
대전ㆍ충청본부는 행정수도이전논란에 대해 기획기사 세 편을 내보내 ▲ 반대논리에 대한 대응에 급급하여 내부적 논의 부족 ▲ 보수 언론의 행정수도 이전에 대한 왜곡보도에 적절한 대응 필요 ▲ 행정수도 이전엔 찬성하지만 현재의 기대효과로는 부족 ▲ 수도권 시민단체와의 공조 필요 등을 제안했다.
그러나 현 상황은 서울시의 관제데모를 비롯한 여러 논란에 그 본질이 흐려지고 있는 듯하다.
지금까지 행정수도 이전 논란에 대한 대전ㆍ충청지역 시민사회와 해당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취재해 온 기자로서 몇까지 아쉬움이 남는다.
그동안 대전ㆍ충청지역의 시민단체와 민주노동당은 급식조례, 경륜장 반대, 화상경마장 반대, 러브호텔 문제, 이라크 파병 반대에서 시민사회라는 틀 안에서 협력을 계속해 왔다.
지난 17대 총선에서도 많은 시민단체 활동가들이 민주노동당을 지지하는 등 시민단체들이 밀집된 서울 및 수도권보다도 시민사회의 역할과 범위확장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지역사회에서 두 세력 간 공조는 그야말로 없어서는 안 될 꼭 필요한 것이었다.
기자는 이 글을 통해 그동안 우리지역의 변화와 개혁을 주도해 온 시민단체와 민주노동당의 행정수도에 대한 공조의 필요와 가능성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충청권 시민단체와 민주노동당, 공조 가능하다
지난 8월 12일 충청권 대책위 기자회견 이후 지방분권운동 대전본부 김수현 사무국장은 "민주노동당의 대안 없는 반대 입장에 납득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민주노동당 관계자들은 "행정수도 이전만이 지방분권의 유일한 방법은 아니다"라는 생각이다.
그러나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공조의 가능성은 있다. 우선 행정수도 이전을 찬성하고 있는 시민단체들도 지금의 행정수도 이전에 대한 기대 효과만으로는 충분한 지방분권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는 의견에 동의하고 있다.
신행정수도건설추진위원회는 인구 50만의 분산효과를 기대하고 있지만 그 정도 분산으로는 수도권 과밀화가 해소될 수 없다는 의견이 많다.
환경정의시민연대 박용신 사무국장은 "지금의 신행정수도 이전이 그에 따른 효과보다는 상징적 의미에 치우쳐 있다"고 지적했고 지방분권운동 충북본부 이두영 국장(현재는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송재봉 국장이 대행 중)은 "우리도 수도권과의 연담화와 수도권 집중 및 난개발을 우려하고 있다. 행정수도 이전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 반대를 전제하지 않는다면 함께 논의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다음으로 행정수도 이전 지역 서민들의 생활에 대해 함께 우려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8월 21일 민주노동당 충남지부 임시대의원회의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충청권 대책위 김양호 집행위원장은 "행정수도 이전이 본격화되면서 인근 지역의 전세 및 임대료가 폭등했다. 지역 서민들은 물가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전 지역 서민생활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공주녹색소비자연대 이윤희 사무처장도 "가장 중요한 것은 지역 나름의 역사ㆍ전통ㆍ문화 등 정체성을 어떻게 유지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부분이다. 빈익빈, 부익부의 경제적 현안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만큼, 이런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