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성과 실천을 일깨워 준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통일혁명당 사건 무기수 신영복의 옥중서간

등록 2004.11.01 23:44수정 2004.11.02 11:52
0
원고료로 응원
"없는 사람이 살기는 겨울보다 여름이 낫다고 하지만, 교도소의 우리들은 없이 살기는 더합니다만, 차라리 겨울을 택합니다. 왜냐하면 여름 징역의 열 가지, 스무 가지 장점을 일시에 무색케 해버리는 결정적인 사실 – 여름 징역은 자기의 바로 옆 사람을 증오하게 한다는 사실 때문입니다. 모로 누워 칼잠을 자야 하는 좁은 잠자리는 옆 사람을 단지 37도의 열덩어리로만 느끼게 합니다.

더욱이 그 미움의 원인이 자신의 고의적인 소행에서 연유된 것이 아니고 자신의 존재 그 자체 때문이라는 사실은 그 불행을 매우 절망적인 것으로 만듭니다."(1985년 8월 28일 대전에서 '여름 징역살이')


<감옥으로부터의 사색>표지 돌베개출판.
<감옥으로부터의 사색>표지 돌베개출판.돌베개
대학 1학년 때인 1991년 4월 19일 선배에게서 생일선물로 받은 신영복의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대학 생활을 막 시작한 때에 접한 이 책은 내게 대학에서의 사색이 무엇인지를 말해줬다.

10대 시절 꿈꾸던 대학은 지성과 실천의 전당이었다. 대학은 삶을 위한 지식을 습득, 연마하고 그 지식을 바탕으로 미래를 꿈꾸고 희망을 실천하는 공간이라 여겼다. 대학사회를 구체적으로 인식하고 실천하는 지성으로 이끌어 준 것이 바로 이 책이다.

스물 일곱 살부터 마흔 일곱 살까지 20년 20일을 복역한 무기수 신영복

신영복은 육군사관학교 교관으로 복무하던 중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무기징역을 선고 받았다. 그는 1968년 7월 스물 일곱의 나이에 투옥되어 1988년 8월 14일 가석방되기까지 20년이 넘는 기간을 무기수로 복역했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두 번이 넘게 변한 인고(忍苦)의 시간이다.

신영복이 계수씨(막내 동생의 아내)와 형수님, 어머님과 아버님께 보낸 편지에는 그의 삶에 대한 깊은 성찰이 있다. 그의 편지 글은 마음 속 깊은 곳에 잔잔하게 다가오면서 살아간다는 의미가 무엇인지 참말로 사색하게 한다. 때로 심금을 울리면서.


"가운데 씨가 박혀서 좀처럼 쪼개질 것 같지 않은 복숭아도 열 손가락 잘 정돈해서 갈라 쥐고 단호하게 힘을 주면 짝하고 정확히 절반으로 쪼개지면서 가슴을 내보입니다.

'하트' - 복판에 도인(桃仁)을 안은 '사랑의 마크'가 선명합니다.


'사랑은 나누는 것', 복숭아를 나누고, 부채 바람을 나누고, 접견물을 나누고, 고통을 나누고, 기쁨을 나누고..."(1986년 8월 1일 전주에서 '사랑은 나누는 것')

복숭아 씨를 나누는 것 같은 일상에도 신영복의 사랑은 존재한다. 끝모를 옥살이를 하면서 사물 하나하나에 대한 느낌과 바라보는 모든 것들에 대한 그의 끝없는 되새김들은 모두 가슴에 와 닿는다.

<함께가자우리>-신영복의 작품(http://www.shinyoungbok.pe.kr)
<함께가자우리>-신영복의 작품(http://www.shinyoungbok.pe.kr)신영복


현실과 이상의 괴리로 인해 혼란스럽던 1991년... 시대인식을 바로세워 준 책

책을 처음 접했던 1991년 대학 교정은 수많은 열사들로 넘쳐났다. 4월 26일 학원자주화투쟁과 노태우 정권의 비리를 규탄하던 시위 중 백골단에 의해 죽어간 강경대 열사를 시작으로 숭고한 젊은이들이 산화해 갔다.

강경대, 박승희, 김영균, 천세용, 박창수, 김기설, 윤용하, 김철수, 이정순, 정상순, 김귀정에 이르기까지 이들의 죽음은 대학 1학년인 내가 감당하기에는 참으로 버거운 '현실'이었다. 그 당시 대학은 낭만을 쫓아 자유로움을 만끽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이상에 대한 막연한 추구가 아닌 현실을 직시하며 시위와 논쟁을 주도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혼란스러웠다.

그 때 지식인들의 논쟁은 혼란스러움을 더욱 자극했다. 그 중에서도 압권은 당시 존경을 한 몸에 받던 김지하 시인의 <죽음의 굿판을 걷어치워라>는 조선일보 기고문이었다.

"젊은 벗들! 나는 너스레를 좋아하지 않는다. 잘라 말하겠다. 지금 곧 죽음의 찬미를 중지하라. 그리고 그 굿판을 당장 걷어치워라. 당신들은 잘못 들어서고 있다. 그것도 크게!

당신들은 흔히 「지도」라는 말을 쓴다. 또 「선동」이란 말도 즐겨 쓴다. 스스로도 확신 못하는 환상적 전망을 가지고 감히 누구를 지도하고 누구를 선동하려 하는가? 더욱이 죽음을 찬양하고 요구하는가? 제정신인가, 아닌가?

생명은 자기 목숨이라 하더라도 함부로 할 수 없는 무서운 것인데 하물며 남의 죽음을 제멋대로 부풀려 좌지우지 정치적 목표아래 이용할 수 있단 말인가?"

인식은 삶의 체험과 투철한 자기성찰에서 출발한다. 91년 나의 시대상황에 대한 인식과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은 묘하게 연결됐다. 이 책은 진지한 삶의 성찰, 무엇이 옳고 그른가에 대한 판단, 어떻게 지성을 실천해야 하는가를 끊임없이 되새겨 주었다.

"사람은 나무와 달라서 나이를 더한다고 해서 그저 굵어지는 것이 아니며, 반대로 젊음이 신선함을 항상 보증해 주는 것도 아닙니다. 노(老)가 원숙이, 소(少)가 청신함이 되고 안되고는 그 연월(年月)을 안받침하고 있는 체험과 사색의 갈무리 여하에 달려 있다고 믿습니다."(1983년 1월 13일 대전에서 '세월의 흔적이 주는 의미')

2004년 시대인식이 필요하다

이 책은 1988년 첫 출판된 이후 몇 번의 개정판을 거쳤다.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은 1990년 11월 20일 햇빛출판사가 발행한 초판이다.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개정판과는 내용에 있어 조금 다르다. 그럼에도 초판을 간직하고 있는 이유는 출판 당시의 치열함과 생생함이 그대로 느껴지기 때문이다.

그가 기나긴 시간 동안 수많은 것들에 베풀었던 끝없는 사랑과 관심을 한 권의 책으로 모두 만났다는 것은 삶의 큰 축복이었다.

시간이 흘러 2004년 이 책을 다시 꺼내 들었다. 13년만에 다시 만났다. 1991년도가 수많은 열사들이 산화해 가며 죽음과 민주화에 대한 인식으로 혼란스러웠다면 2004년은 '관습법'으로 대변되는 사회 인식으로 혼란스럽다.

20년이 넘는 긴 시간 동안의 신영복의 사색이 이 시대에 진정으로 필요하지 않은가 싶다. 어쩌면 우리는 우리의 무지(無智)로 인하여 지구를 감옥 아닌 감옥으로 만들어 스스로 옥살이를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갇혀 있는지도 모르면서 말이다. 시대에 대한 끊임없는 사색이 필요한 이유다.

<솔아푸르른솔아>-신영복의 작품(http://www.shinyoungbok.pe.kr)
<솔아푸르른솔아>-신영복의 작품(http://www.shinyoungbok.pe.kr)신영복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 신영복 옥중서간, 제3판

신영복 지음,
돌베개, 2018

이 책의 다른 기사

각각의 삶에 대한 인간적 공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전북 순창군 사람들이 복작복작 살아가는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사유화 의혹 '허화평 재단' 재산 1000억 넘나 사유화 의혹 '허화평 재단' 재산 1000억 넘나
  2. 2 중학교 졸업여행에서 장어탕... 이건 정말 '세상에 이런 일이' 중학교 졸업여행에서 장어탕... 이건 정말 '세상에 이런 일이'
  3. 3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4. 4 남자선배 무릎에 앉아 소주... 기숙사로 가는 내내 울었다 남자선배 무릎에 앉아 소주... 기숙사로 가는 내내 울었다
  5. 5 이런 곳에 '공항'이라니... 주민들이 경고하는 까닭 이런 곳에 '공항'이라니... 주민들이 경고하는 까닭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