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일보 사옥정민규
뿐만 아니라 이 위원장은 재단 측의 “소유와 경영이 모범적으로 분리돼 있다”는 주장과는 달리 “응답자의 67.1%가 인사권 행사를 통해 경영에 간섭하고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설명했다.
이 위원장은 소유구조의 대안으로써 ▲공공의 소유 형태인 공익법인의 소유 ▲종업원지주제 ▲국민주 방식 등을 꼽았다. 또 편집권 독립에 있어서도 “정수재단은 이 참에 임원진에 대한 인사권도 적절한 형태의 공익적 방법을 빌어 부산일보 구성원에게 돌려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진 주제토론에서 변영철 변호사는 “공익재단 설립이 독지가가 출연한 경우와 탈세를 하기 위한 것이 구분하기 힘들어 편법적 상속 수단으로 애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변 변호사는 “이건희 회장이 가지고 있는 삼성전자의 주식은 3%에 불과한데도 막강한 영향력을 끼치는데 정수재단의 경우 MBC지분의 30%를 소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변 변호사는 “사실상 부산일보와 MBC가 낸 돈으로 40년동안 정수장학회로부터 장학금을 받은 인원은 4만명에 달하며 4인 가족 기준으로 하면 16만명에 이른다”며 “김대중 대통령과 이회창 후보가 19만표의 표차를 보였던 점에 비추어 보면 제1야당의 총재가 장학회 이사장으로 있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문종대 동의대 교수는 “박 대표 자신과 한나라당 입장에서는 정수장학회가 정치 이슈화되는 것이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이라며 “이런 시기에 부산일보는 전략적으로 편집권 독립을 얻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문 교수는 “여론의 지지가 정책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만큼 여론의 통제가 가능하지 않도록 정치와 언론의 분리를 시켜야한다”고 밝혔다.
마지막 토론자로 나선 조준상 <한겨레> 기자는 부산일보의 소유구조 변화 방식에 대해 조언했다. 조 기자는 “정수장학회로부터 지분을 액면가로 사들이고 30% 정도는 집단지분으로 삼아 이를 50%대까지 끌어올려야 이사장이 누가 되든 좌지우지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끝으로 사회를 맡은 채백 부산대 교수는 “첫 단추부터가 잘못되었다는 생각이 든다”며 “40여년이 지나면서 더 잘못 끼워진 것을 제대로 끼워나가야 할 시간이 되었다”며 마무리 인사말을 대신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