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1월 25일 사설매일신문
또한 11월 30일 '방천 쓰레기 매립장 확장 논란 '재연''을 분석한 기사에서는 제목만 '대구시 "대안없다"-"결사반대" 주민들'이라고 공평하게 뽑았을 뿐, 기사 내용의 86% 정도, 즉 전체 기사 108줄 가운데 93줄을 대구시의 정책을 홍보하는 데 할애했다. 대구시의 기자회견 내용을 보도한 기사도 아니고 명색이 '논란'을 점검하는 기사였는데 최소한의 형식적 형평성도 맞추지 못했다.
매일과 영남, 구체적인 해결책 제시엔 미흡
두 신문 모두 쓰레기 문제의 근본 해결책이 '쓰레기 감량'에 달렸다고 보고 있다. 올바른 방향 제시다. 하지만 감량을 위한 구체적 방안에 대해서는 시민들의 각성이나 지자체의 홍보 강화에 초점을 맞추는 등 기존의 주장을 되풀이 하는데 그쳤다.
또한 대구시의 정책이 '감량'보다는 사후 '처리'에 치중되어 있다는 점도 비판하지 못했다. 2002년부터 2011년까지 대구시의 폐기물 관련 투자계획비용은 3428억 원 정도다. 하지만 이 가운데 처리 시설관련 비용이 3413억 원으로 전체 사업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폐기물 발생의 최소화에 투자되는 비용이 아주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구시의 쓰레기 감량 정책이 헛구호에 그칠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또 각 구청장·군수가 해마다 폐기물 처리에 대한 기본계획을 시장에게 승인을 받아야 하며, 전년 대비 반입량을 분석해 반입수수료에 차등을 두도록 되어 있는 부산시의 관련 조례와는 달리, 처리시설의 위탁운영에 관한 조항이 대부분인 대구시의 미흡한 관련 조례에 대해서도 두 신문은 문제점을 지적하지 못했다.
끝으로
흔히 혐오시설로 인신되어 있는 폐기물 처리시설 문제는 풀기 어려운 문제 가운데 하나다. 대폭적인 쓰레기 감량과 친환경적 처리시설이 대안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시민들의 각성이나 지자체의 홍보활동만으로는 부족하다. 제도와 예산이 뒷받침된 관계 당국의 확고한 의지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때문에 언론도 이 부분에 감시의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