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장] 아이들에게 '오늘'을 돌려주자

아이들을 어떻게 사랑해야 하는가? (2)

등록 2004.12.24 10:08수정 2004.12.24 16:04
0
원고료로 응원
오늘을 저당잡힌 아이들

70년대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에서, 종종 등장하는 동네 술집의 풍경 속에 재미있는 글귀가 기억난다.

"오늘은 현금, 내일은 외상!"

이 글대로라면 누구도 외상으로 술을 마실 수가 없다. 그러나 실제 그 집에서 외상으로 술을 마시는 동네 아저씨들이 많았을 것이다.

자라나는 성장세대들을 지칭하는 표현으로 "아이(어린이, 청소년)들은 내일의 주인공"이라는 표현을 자주 써 왔다. 틀린 말은 아니나, 좀더 깊게 혹은 뒤집어 생각했을 때, '학령기의 어린이, 청소년들에게 오늘은 없다'라고 이해하는 것은 지나친 과장일까?

우리 나라 아이들이 세계적으로 수학능력이 높다는 사실은 이제 OECD 회원 국가들 중 교육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다 알게 되었다.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가 이를 증명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높은 수학능력을 가지게 된 이유에 대하여 OECD 회원들이 소상하게 알게 된다면 그래도 한국 아이들의 뛰어난 교육적 능력을 부러워할까?

방과 후, 대부분의 아이들이 음악적 감수성을 키워주는 것과는 상관없는 피아노 레슨을 받아야 하고, 문화적 감수성과는 상관없는 미술학원을 다녀야 하며, 세계화를 위한 영어는 필수이다.


또 학교에서 보는 쪽지시험에서 수학 과목이 70점 아래로 떨어지면 보습학원을 다녀야 하고, 조금 과장해서 친구들과 싸워 코피라도 터져서 집으로 들어오면 그날로 태권도 학원을 가야하는 게 우리네 현실이다.

이렇듯 비정상적인 우리네 학부모님들의 사교육열(?)을 OECD 회원국들이 알게 된다면 한국 사회의 교육열을 그리 긍적적으로 평가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런 것을 생각해 보자. 초등학생과 대학생은 자유롭게 할 수 있는데 중고등학교 시절에는 할 수 없는 일들이 있을까? 참 많다. 즉 오늘을 저당잡힌 중고등학생들은 머리 끝에서 발끝까지 온갖 규제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에서 교복입은 배우들의 모습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에서 교복입은 배우들의 모습
머리핀, 머리모양, 교복, 교복치마와 바지, 모자, 속옷, 스타킹, 신발, 가방 등 모든 것이 정해진 규정을 벗어날 수 없다. 생활 속에서의 규제는 또 어떤가? 40~50대 어른들이 자신의 청소년 시절을 돌이켜 보면 참 실소할 일들이 많다. 추억의 DJ가 있는 음악다방, 몰래 들어간 극장, 당구장 등은 대표적인 금지구역이었다.

지금은 다 커버린 대학생이 된 아이들에게 출입금지 구역이었던 롤러스케이트장 이야기를 할라치면 책상을 두드리며 당시의 말도 안 되는 규제를 폭소로 웃어넘긴다. 역시 흘러간 추억의 한 장면이 된 것이다. 4시간 자면 합격하고 5시간 자면 떨어진다는 '4당 5락'은 지금도 유효한가보다.

초등학생은 가능한데 대학생도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 유독 중고등학교 시절에만 제약 당해야 하는 논리를 우리들은 아무런 문제의식 없이 수용하고 있다. 왜일까? 필자는 그것을 올해 대 유행했던 말 중의 하나인 '관습화된 불문율'이라고 명명해 본다.

청소년들이 충분한 휴식과 다양한 여가생활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어야 한다는 '청소년 헌장'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한국의 청소년들은 실로 '오늘'을 잃어버리고 '내일의 주인공'으로 살아가는 아이들이 되어버렸다.

통제 속에서 자란 어른들, 그리고 통제밖에는 다른 방법을 모르는 어른들

어른들에게 '왜 청소년들에게는 많은 규제가 필요한가?'하는 이유를 물었다. 어른들의 대답은 대동소이하게 '통제하기 쉬워서'라고 말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에서 통제를 통해 유지되는 곳이 있다면 그 곳은 군대와 교도소일 것이다. 즉 '중고등학생과 군인과 죄수'들은 통제의 대상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청소년들은 자신을 존중하는 마음, 즉 자존심을 상실하게 된다. 자기를 존중하는 마음이 없으니, 자신을 믿는 마음인 자신감이 있을 수 없다. 자존심이 상하고, 자신감을 잃어버린 아이들은 어떻게 살아가게 될까?

2004년 1월 겨울 아힘나의 아이들
2004년 1월 겨울 아힘나의 아이들김종수
통제 속에 자란 아이들에게 자율을 기대할 수 없으며, 또한 책임을 기대할 수 없다. 그래서 이 통제를 벗어나기 위한 노력은 옛날부터 있어 왔으며, 때론 집단화하고 폭력화되기도 한다. 그럴수록 더 많은 규제와 억압의 기제를 사용하려 하지만 그러한 통제는 결국 아이들의 마음을 더욱 흉포화시켜 버리는 결과를 낳게 된다. '통제'라는 수단밖에 모르는 어른들에게, '아이들에게 자유와 권리를 부여해 스스로 자율을 터득하게 하라'고 한다면 아마도 기겁을 하며 놀랄 것이다. '그것이 가능하냐고!'

통제 속에서 성장한 이들은 통제를 매우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된다. 그러나 자신들도 그 통제 속에서 부단히 탈출을 시도했고, 또 그렇게 탈출했던 이야기들은 학창시절의 아름다운 추억으로 기억되기도 한다. 그러면서도 또 다시 통제의 유혹으로 빠져들어가는 것이다.

아이들에게도 '오늘'은 있다!

공부 잘하면 누구나 S.K.Y 대학에 들어갈 수 있다는 논리로 새벽부터 밤 늦게까지 아이들을 잡아두는 한국의 교육풍토에서 이제 헛된 신화는 서서히 걷어내야만 한다. 어린이, 청소년들은 당시 배워야만 할 진정한 교육이 따로 있다.

내일을 위해서 장차 많은 보수를 받는 직업을 얻기 위해서 어려서부터 '오늘'을 저당 잡힌 채 살아가는 삶은 아무리 GNP가 높다 할지라도 행복지수는 그만큼 낮아지게 될 뿐이다. 아이들에게 '오늘'을 돌려주자. 한 번 지나가면 오지 않는 이 '오늘'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기억과 평화를 위한 1923역사관 관장 천안민주시민교육네트워크 공동대표 1923한일재일시민연대 상임대표


AD

AD

AD

인기기사

  1. 1 전국 최고 휴게소 행담도의 눈물...도로공사를 향한 외침 전국 최고 휴게소 행담도의 눈물...도로공사를 향한 외침
  2. 2 [단독] 김태열 "명태균이 대표 만든 이준석, 오라면 오고 가라면 가고" [단독] 김태열 "명태균이 대표 만든 이준석, 오라면 오고 가라면 가고"
  3. 3 1만2000 조각 났던 국보, 113년만에 제모습 갖췄다 1만2000 조각 났던 국보, 113년만에 제모습 갖췄다
  4. 4 한 박스 만원 안 나오는 샤인머스캣, 농민 '시름' 한 박스 만원 안 나오는 샤인머스캣, 농민 '시름'
  5. 5 [단독] 김태열 "이준석 행사 참석 대가, 명태균이 다 썼다" [단독] 김태열 "이준석 행사 참석 대가, 명태균이 다 썼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