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테크 브랜드는 반미감정을 피해갈 수 있을까? 미국의 글로벌 브랜드민경진
"비자카드는 그래도 로컬 기업이란 이미지가 강해서 반미 물결에도 불구하고 영향을 받지 않은 편이죠. 한국의 소비자들은 우리가 쌀밥만큼이나 친숙하다고 말합니다."
- 존 엘킨스, 비자 인터내셔널 부사장
"반미정서가 극심한 중동에서 코카콜라는 매출이 떨어지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반면 펩시콜라는 이에 아랑곳 하지 않고 승승장구 하고 있다. 이 사실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 존 A. 퀠치,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
부시 정부의 일방주의 외교로 미국이 유례없는 '왕따'를 당한 올 해 다보스 포럼에서 참석자들 사이에 떠오른 또 하나의 화두는, 그렇다면 반미감정이 아메리칸 브랜드의 장래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라는 질문이었다.
국제PR대행사인 에델만의 리차드 에델만 사장은 "아메리칸 브랜드가 어떻게 대서양 건너 유럽에서 냉기류를 만났는가?"라는 제목의 포럼에서 자체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부시 행정부 출범 이후 심화된 반미감정으로 인해 미국과 유럽간의 불신의 골이 더욱 깊어진 반면에 중국, 일본, 남미 등지에서는 이런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에델만이 세계의 여론주도층 1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코카콜라, 맥도널드, 버거킹, 말보로 같은 미국산 글로벌 브랜드에 대해 미국의 응답자들이 69%의 신뢰도를 보인 반면 유럽과 캐나다의 응답자는 각각 45%와 46%에 그치는 저조한 지지율을 보였다.
반면 중국, 일본, 브라질의 응답자들은 이들 미국산 브랜드에 대해 미국의 조사대상자들과 별 차이가 없는 비슷한 신뢰도를 보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국가에서는 반미감정과 상관 없이 여전히 미국적 가치와 자유시장주의에 대한 지지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런 차이를 다보스 포럼의 참석자들은 어떻게 해석했을까? 미국에 대한 반감이 미국 브랜드 일반에 대한 호감도 저하로 이어질 것이라는 가설이 옳다면 왜 코카콜라와 맥도널드 햄버거 불매운동에는 동참하는 사람들이 같은 미국 제품인 마이크로소프트의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에서 지워버리지 않으며 한국의 소비자들은 왜 비자카드에 변함 없는 지지를 보내는 것일까?
영국 런던대학의 A.C. 그레일링 교수는 "반미물결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브랜드는 미국이 지향하는 가치와 생활방식을 파는 브랜드"들이라고 지적한다. 코카콜라, 맥도널드, 말보로, 디즈니 같은 제품을 구매하는 세계의 소비자들은 단순히 제품 자체가 아니라 브랜드에 진하게 배어있는 자유, 진보, 혁신, 이상, 프런티어 정신 등 미국적 가치에 대한 프리미엄을 지불하는 것이라는 의미.
반미감정에 따른 미국 브랜드들의 어려움은 유럽지역에 한정
에델만의 여론조사 역시 이런 주장을 뒷받침한다. 에델만 사장은 반미물결의 직격탄을 맞은 쪽은 "브랜드와 신뢰를 먹고 사는 기업들"이라며 반면에 "IT와 첨단기술 브랜드는 미국산이라기보다 글로벌 브랜드로 인식되는 탓에 타격을 입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HP(*HP는 다보스 포럼의 주요 후원기업이었다) 등의 미국산 하이테크 브랜드가 세계의 소비자들에게 왜 반미감정을 연상시키지 않는 지에 대한 하나의 단서가 될 수 있다.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존 A. 퀠치 교수는 맥도널드와 코카콜라 등이 급증하는 반미감정의 주 공격대상으로 지목되면서 이들 기업이 매출에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고 반박했다.
그는 반미감정의 비등에 따른 미국 브랜드들의 어려움은 유럽지역에 한정되었고 조지 부시 대통령이 당선되기 훨씬 전부터 이미 존재했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코카콜라가 유럽시장에서 어려움을 겪은 것은 가짜 생수나 불량 콜라 파동 등 경영 미숙에서 비롯된 것이지 반미감정 탓은 아니라는 것. 미국산 브랜드가 반미감정으로 유럽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주장이 사실이라면 스타벅스의 파리 매장 오픈이 이 회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이었던 것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느냐는 것이 퀠치 교수의 질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