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4월 8일 3면. '인혁당 30주년' 기사를 편집했지만, 이는 연합뉴스를 그대로 인용했을 뿐이다.
대구ㆍ경북지역과 인혁당은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인혁당 사건으로 사형을 당한 8명 대부분이 대구ㆍ경북에 생활 근거지를 두고 있던 사람들이었다.
시쳇말로 '고향 사람들'이었다.
때문에 그 어떤 지역보다도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보도해야 할 신문이 우리 지역의 신문들이다.
하지만 <영남일보>는 "추모행사가 대구에서 대대적으로 열린다"(4월6일), '인혁당 사진전'(4월8일 사진), "묘역 참배에는 김근태 보건복지부장관이 참석, 눈길을 끌었다"(4월9일)는 등 행사를 소개하는 위주의 보도에 그쳤다.
<매일신문>도 "진상규명ㆍ명예회복과 정신계승을 위한 증언 및 강연회가 열렸다"(4월8일), "김근태 장관이 참석해 유족과 관계자들을 위로했다"(4월9일)는 등 행사 소개 기사를 주로 실었다.
다행히 4월8일자 '희생자 명예회복 아직 감감'에서 "국정원의 우선조사 사건으로 선정되어 다시 주목…2002년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가 조작사건임을 공식 인정…그러나 명쾌한 결론이 나오지 않고 있다. 명예회복과 보상심의가 미뤄지고 있다"라며 인혁당 30주년을 되짚어보고 있다.
하지만 이 기사는 연합뉴스를 그대로 인용한 것이었다.
<매일신문> 기자는 100여명이 넘을 것인데, 지역과 깊은 연관을 가진, 대표적 인권유린 사건을 자체적으로 취재하기보다는 통신사 뉴스를 지면에 옮겨놓는 것에 대해 많은 아쉬움이 남는다.
특히 <매일신문>은 2002년9월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에서 '인혁당 사건은 중정의 조작'이라고 한 직권조사 발표를 단신(9월13일)으로 처리했고, 또 올해 2월 국가정보원에서 우선 조사대상으로 인혁당 사건을 선정했을 때 기존의 사법부의 주장만 싣고 유족과 시민단체들의 주장은 싣지 않았다(2월3일).
過去史는 過去之事가 아니다
최근의 과거사 논란에서 우리가 얻은 교훈은 무엇일까. 다른 점은 몰라도 과거사가 단순한 과거의 일만은 아니라는 점은 모두가 인식했을 것이다. 과거가 현재는 물론 미래와도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는 것은 이제 상식이 되었다.
작게는 피해자와 가해자의 보상과 처벌에서, 크게는 우리 사회 전체의 정체성을 규정하고, 더 나아가서는 우리 사회의 미래를 가늠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과거사는 과거의 일만은 아닌 것이다.
우리는 요즈음 과거사를 단순한 과거의 일로만 여기고, 뼈저린 반성을 하지 않으면 어떤 결과를 낳게 되는지 이웃 나라인 일본을 통해 똑똑히 지켜보고 있다. 하지만 우리도 반면교사의 자세로 우리들 내부의 과거사를 잘 처리하지 못하면 일본의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크다. 사회의 공기인 언론이 과거사 문제에 앞장서야 하는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공유하기
조중동, 대구·경북언론, '인혁당 30주기' 모두 외면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