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으로 들어가 대청마루에서 바라본 풍경. 버드나무 가지가 살랑거릴 때 마다 마음도 따라 살랑거리는 듯하다.안병기
섬에는 오래된 왕버드나무 한 그루가 있다. 햇볕 뜨거운 여름날엔 이 왕버드나무가 만드는 치렁치렁한 가지들이 바람결에 살랑거리는 모양만 바라보고 있어도 절로 시원해지는 듯싶다. 못 가에는 바위로 주변을 빙 둘러놓았는데 인공의 냄새를 느끼지 못할 만큼 자연스럽다.
옛 선비들에게 있어 돌이란 더 이상 덧붙여질 것도 없고 모자랄 것도 없는 그 자체로 완벽한 개체였다. 게다가 변절이 없는 항구불변성이야말로 돌이 가진 미덕 가운데 으뜸이었으니 선비의 상징이기도 했으므로 조경의 소재로 즐겨 사용되었던 것이다.
이렇게 건물 전면에 연못을 조성해 놓고 나니 건물의 출입은 내삼문을 통해 뒤로 할 수밖에 없게 되어버렸다. 남간정사는 이렇게 인위적으로 꾸며 놓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집과 사람이 자연의 요소를 크게 깨트리지 않는 범위로 한정지어 놓았던 점이 특색이다.
지난해 5월 우암문화제 때 처음 안으로 들어가 보았던 때가 떠올랐다. 이곳을 드나든 지 꼬박 10년만의 일이었다. 매양 밖에서만 서성거리다가 안으로 들어가 대청마루 문을 활짝 열고 연못을 바라보던 맛은 얼마나 시원했는지 모른다. 불어오는 산들바람과 그 바람에 하늘거리는 버드나무 가지들의 움직임은 얼마나 한가하고 아름다웠던가. 가만히 조정권의 시 '춘일'을 읊조려 본다.
벚꽃이 피면 온몸에 감겨오는 꽃내음이 햇살인 양 가아늘게
나리는 언덕길에 그 햇살 눈망울 깊숙이 담으며 여기 오십시요
나 어린 이파리들의 조용한 수줍음으로 포장된 이 길을 따라나와
하얀 맨발로 거닐어보지 않으렵니까
차분한 걸음으로 사붓사붓… 한 잎 꽃이파리처럼 멀어져가는
언덕길 발자국마다 고이는 꿈을, 먼 후일 우리 돌아와 한 접시
촛불 밝히며 지새우지 않으렵니까.
마음의 모퉁이엔 흰 손수건 하나 -
이 봄 쓸쓸한 내 식탁에 한 번 놀러오지 않으렵니까.
흰 구름 흘러가는 저 아래 지금 꽃길이 한창인데….
- 조정권 시 '춘일(春日)' 전문
폐쇄적 운영이 낳은 총체적 부실
그러나 평상시 남간정사는 내삼문까지만 개방되어 있다. 건물 안쪽까지 구경하려면 관리사무소에 요청한 뒤 관리인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하지만, 그걸 알려주는 안내문도 없을 뿐더러 설령 있다고 한들 그런 번거로움을 무릅쓰고 방문할 사람은 그리 많치 않을 것이다.
보존을 위해서 개방을 제한하는 것이라고 하지만 그것은 사실상의 방치였다. 지난해 5월 우암문화제 때 들여다 본 남간정사 건물은 내가 대전에서 여태까지 보았던 문화재 가운데 가장 낡고 병든 건물이었다. 마구잡이식 도배로 말미암아 대충 문종이로 발라 덮어버려 기능을 상실한 불발기창, 부식의 흔적이 역력한 마루 등은 왜 개방이 필요한가를 역설적으로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외삼문으로 발을 들여놓자마자 만나게 되는 기국정 건물은 시야를 가릴 뿐 아니라 전체적인 건물배치의 균형을 깨트리고 있어 남간정사와 아무 관계 없는 이 건물의 존재 이유를 의심케 하고 있는 실정이다.
세상살이가 영 따분할 때면 찾고 싶은 곳
지금 남간정사에는 봄빛이 완연하다. 남간정사는 세상살이가 영 따분할 때면 찾고 싶은 곳이다. 거기 연못가에 앉아서 왕버드나무 가지가 살랑대는 모습을 바라보기도 하고, 지붕 위에 비쭉비쭉 돋아난 와송들이 어떻게 무리를 이루고 오손도손 사는가를 들여다 보고 있노하면 마음이 절로 느긋해지고 한가해진다.
운이 좋다면 평생을 구부러지는 법을 알지 못했던 조선의 선비, 우암 송시열에게 내삼문 앞을 가로막고 있는 구부러진 왕버드나무가 건네는 충고의 말도 들을 수 있을 것이다.
"원칙은 칼 같이 하되 그 적용은 유연하게 하라."
어쩌면 나무도 오래 살게 되면 삶의 이치를 깨우치게 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덧붙이는 글 | 안으로 들어가는 내삼문은 항상 닫혀 있는 관계로 부득이 일부 사진들은 지난해 5월 우암문화제가 열렸을 때 잠시 개방한 틈을 타 찍어두었던 사진을 썼습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