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돌아가신 분들 곡만 연주하죠?

[음악이 있는 음악 이야기] 나의 히트곡 '아리랑'

등록 2005.08.03 10:09수정 2005.08.03 20:37
0
원고료로 응원
피아니스트 임미정(울산대) 교수가 '음악이 있는 음악이야기'를 연재합니다. 임 교수는 피아니스트이며, 남북음악교류재단의 상임이사를 맡아 남북간 민간음악교류를 위해 일하고 있습니다. 임 교수는 이 연재에서 자신 또는 다른 연주자들이 직접 녹음한 곡을 맛깔난 글과 함께 소개할 계획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성원 부탁드립니다. <편집자주>
임미정
피아니스트로 활동하다 보면 주로 돌아가신 분(?)의 곡만을 연주하게 되는 것 같다. 베토벤, 모차르트, 쇼팽 등 어느 분도 살아계시지 않으니 말이다.

예전에 수학을 가르치는 어느 미국 선생이 '요한 세바스찬 바하'의 곡만을 부르는 성악가에 대해 왜 죽은 사람 곡만 부르느냐고 심각하게 물어 왔던 기억이 난다. 새로 만들어지고, 누구나 들으면 흥겨워지는 대중음악을 젖혀두고, 늘상 이삼백년 전 곡을 반복해서 연습하는 (고전)음악인들이 이상하게 느껴진다면서 말이다.


그렇다 보니 성악도 아닌 피아노 독주회나 음반을 통해 딱히 연주자의 히트곡(?)을 운운할 상황이 아니게 된다. 히트곡이란 새로운 곡을 소개할 때 정말 히트되는 것인데, 항상 리바이벌만 계속하다보니 그런 개념이 클래식 연주 무대에선 자주 일어나는 일이 아닌 것이다.

그런데 지난 이삼년 사이 내게 히트곡이라 이름할 만한 곡이 생겼으니, 바로 '아리랑 변주곡'이다. 평양음악무용대학의 전권이라는 40대 작곡가가 아리랑 멜로디를 가지고, 화려하고 애잔하게 각색한 곡이다.

내가 이 곡을 히트곡(?)으로 가지게 된 배경은...

2000년 처음 평양에 연주하러 갔다가 악보를 구하게 되었다. 훈련이 잘 된 북한 피아니스트들은 누구나 이곡을 칠 줄 안다고 한다. 그곳의 제일 큰 콩쿠르에서 본선 과제 곡으로 늘상 주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2002년의 국내 독주회 때 '내 고향의 정든 집'이라는 곡과 함께 소개를 하였는데, 정말 열화와 같은 성원을 받았고, 이런 익숙한 멜로디를 피아노로 듣는 것이 생소하면서도 너무 반가웠다는 말씀을 많이 들었다.


생소하다는 말은 우리가 그동안 정말 서구의 돌아가신 분들 곡만 연주했었기 때문일 테고, 반갑다는 말은 감상 방법을 딱히 알지 못하더라도 공감하며 편하게 즐길 수 있는 음악에 대한 표현이리라….

그래서 지난 3년 동안 어느 무대에서 연주를 하든지 간에 앙코르 곡으로 아리랑을 연주해야지만 음악회를 마칠 수 있는, 명실 공히 필자의 히트곡이 되었다. 만일 내가 북쪽에서 이곡을 연주했다면 당연히 필자만의 히트 곡은 안 되었겠지만 말이다.


특별히 감상 방법에 대한 설명은 필요 없으리라 생각한다. 다만 아리랑 멜로디가 나온 후, 다시 반복될 때마다 왼손의 리듬이 점차 분화하는데, 처음엔 한 박에 두 개, 다음엔 세 개, 네 개로 증가한다. 피아니스트의 손은 당연히 더 바빠지면서 현란하고 화려한 테크닉의 과시가 있게 된다.


임미정

'북한 음악계는...'

보통 서구나 서구의 영향을 받고 있는 고전 음악계에서는, 현대에 만들어진 곡들이 귀에는 그리 감미롭지 않다. 왜냐하면 작곡가들은 새로운 작곡의 기법을 모색하고, 거기에 많은 의미를 부여하게 되는데, 그것이 고도로 추상적이고, 미적 감성보다는 논리적 의미를 내포하게 된다. 그렇다 보니 음악 안에서 미적 소리로 편하게 소통하는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가 많아 연주자들 사이에서도 청중들이 졸릴까봐 새로운 곡의 연주를 기피하게 되는 현상들이 있다.

그런데 북한에서는 많은 민요 멜로디들을 피아노나 바이올린 곡들로 각색해서 즐기고 있었다. 통상 음악회에서 50%는 고전 작곡가들의 곡을 연주하지만, 50%는 창작곡을 연주한다고 한다. 그래서 많은 민요곡들이 베토벤이나 모차르트와 함께 고전 음악 레퍼토리로 자리잡고 있었다.

'아리랑', '옹헤야', '돈돌라리', '노들강변' 등의 제목들이 피아노곡의 이름이다. 물론 엄밀히 말하면 창작곡은 아니고 각색한 곡이지만, 이 외에 이런 민요스타일의 멜로디를 써서 만든 창작곡이 무척 많이 있다.

우리나라의 서양음악 작곡가의 시각으로는 진부한 작곡 방식일 수 있으나, 익숙한 멜로디로 교감을 원하는 연주자와 청중들에게는 무척 기분 좋은 곡들이 아닐 수 없다.

덧붙이는 글 | 이 음악은 임미정 기자가 세라믹홀에서 2003년 녹음한 연주이다.

임미정 기자는 이번 달 18, 19일에 도라산역에서 있을 통일열차 음악회에서, 북한산 피아노인 스톡하우젠으로 아리랑을 연주할 계획이다.

통일열차 음악회 바로가기

덧붙이는 글 이 음악은 임미정 기자가 세라믹홀에서 2003년 녹음한 연주이다.

임미정 기자는 이번 달 18, 19일에 도라산역에서 있을 통일열차 음악회에서, 북한산 피아노인 스톡하우젠으로 아리랑을 연주할 계획이다.

통일열차 음악회 바로가기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임미정 기자는 피아니스트로서 현재 울산대학교 음악대학 교수이다. 귀국전 14년간 뉴욕에 거주, 평양에서의 연주 및 뉴욕에서의 북한 음악 연주등을 통해 민간 문화교류를 해왔다. 2002년 그의 피아노 독주회시 아리랑과 내고향의 정든 집 등 북한의 피아노곡을 국내 초연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2. 2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3. 3 의사 아빠가 죽은 딸의 심장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 의사 아빠가 죽은 딸의 심장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
  4. 4 "나는 폐허 속을 부끄럽게 살고 있다" 경희대 시국선언문 화제 "나는 폐허 속을 부끄럽게 살고 있다" 경희대 시국선언문 화제
  5. 5 미국에 투자한 한국기업들 큰일 났다... 윤 정부, 또 망칠 건가 미국에 투자한 한국기업들 큰일 났다... 윤 정부, 또 망칠 건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