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산하 운전면허시험관리단은 서울 강남면허시험장 등 전국 26개 면허시험장을 관리하고 있다. 사진은 경기도 소재 한 면허시험장 장내 사진.최육상
우리나라 운전면허 소지자는 2005년 4월 말 기준으로 국민 절반에 육박하는 2296만5000명에 이른다. 2003년 100여만 명, 2004년 80여만 명이 신규로 운전면허를 취득했으며 아직도 한 해 응시자가 150여만 명에 이르는 등 '국가고시'로 불려도 손색이 없어 보인다.
시험장소 시설 편차 큰 데도 통일된 관리지침 없어
운전면허시험은 경찰청 산하 '운전면허시험관리단'이 관리하는 전국 26개 시험장과 각 지방경찰청 면허계가 관리하는 484개 운전전문학원 등에서 치러진다. 운전면허시험은 학과, 기능, 도로주행 별로 시행규정이 정해져 있어 전국 어디에서 치르든 똑같은 결과가 나오는 것이 정상이다.
하지만 면허시험을 담당하는 시험장과 전문학원들의 현실은 그렇지 않다. 서울과 경기의 몇몇 시험장을 조사한 결과 시험 시설장비에 대한 운영, 시스템 검사, 유지보수 등이 제각각인 것으로 드러나 문제점이 노출됐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기능시험 시설장비들이 전반적으로 노후했고 상태 또한 시험장과 학원에 따라 큰 편차를 보임에도 통일된 관리지침조차 없다는 것이다.
그에 따라 어떤 사람이 2곳의 시험장에서 서로 차이가 나는 시설장비로 각각 시험을 봤다고 가정할 경우, 한 쪽에서는 불합격인데 다른 쪽에서는 합격하는 일이 생길 수도 있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다. 응시자가 '운전면허시험도 줄을 잘 서야 한다'고 말하지 말란 법도 없다. 국가고시라는 말이 무색한 상황이다.
기능시험 관련 시설장비에는 통제실의 컴퓨터와 기능검정채점기, 차량장치 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정성적 판단'에 따라 운영되고 있다. 면허시험장은 담당 안전요원이 점검한 후 기능시험을 실시하고, 전문학원은 유지보수업체 직원이나 자체 인력이 측정한 후 실시하고 있다. 정확한 수치로 계량화하는 '정량적 판단'이 도입될 필요가 있는 부분이다.
기능시험과 직접 연관된 시설장비의 관리시스템은 더욱 미흡하다. 검지선과 컴퓨터 등 시험측정 관련 시설장비는 최초 검수 후 이상 유무를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기준이 없을 뿐더러 지도감독 소홀과 장비 불량을 확인해도 행정처분을 내릴 기준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