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잡가 완창하는 김영임김영조
김영임, 그녀를 모르는 사람은 한국에 없다. 한국 전통음악 민요의 대표가수 김영임은 많은 사람들의 우상이다. 천상의 음색, 뛰어난 가창력, 청중을 사로잡는 무대 매너는 웬만한 사람은 따라갈 수 없지 않을까?
명망도 돈도 부러울 것 없을 것으로 보이는 그런 김영임이 아무도 시도하지 않았던 경기민요 12잡가를 완창하는 발표회가 8월 28일 늦은 3시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고수 남궁랑의 장구장단에 맞춰 있었다. 전석 초대받은 사람들로 가득 찬 우면당은 12잡가를 완창한다는 것에 짓눌린 듯 엄숙한 분위기로 시작한다.
12잡가는 무엇인가? 우선 국악의 갈래를 보면 정악이 아닌 민속악에 속한다. 원래는 경기잡가이며, 서서 부르는 선소리에 비해 앉아서 부르는 앉은소리(좌창:座唱)에 든다. 조선 말기에 공예인, 상인, 기생들이 즐겨 불렀는데 지금의 서울역에서 만리동 고개 및 청파동에 이르는 지역에 살던 남자 소리꾼들인 '사계축(四契軸)'에 의해 널리 보급되었다고 한다.
원래는 산과 강을 구경하자는 '유산가(遊山歌)', 판소리 적벽가 중 적벽대전 대목을 옮겨온 '적벽가', 제비 후리러 나가는 '제비가', 판소리 춘향가를 일부 옮겼다 해서 '소춘향가', 뱃놀이 할 때 부르는 '선유가(船遊歌)', 춘향이 신관사또에게 끌려 나와 매 맞는 장면에서 집장사령의 행동을 표현한 '집장가', 춘향이 사또의 모진 매를 맞고 옥중에서 고생하는 대목인 '형장가', 평양기생 월선의 이름이 자주 나오는 '평양가' 등 8곡인 팔잡가(八雜歌)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