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11월 환경운동연합 회원들이 세종로 문화관광부 앞에서 골프장 증설반대와 정부의 규제완화 정책 철회를 촉구하며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그래서 <한국일보> 기사 중 특정 구절을 주목해야 한다. <한국일보>는 회원권을 갖고 있는 의원들은 배우자 명의를 포함해 36명이라고 보도했다. 골프치는 의원의 17%에 불과하다.
그럼 나머지 83%의 의원은 어떻게 부킹을 해서 골프를 칠까? 물론 회원권을 갖고 있는 동료 의원이 안내했을 수도 있다.
<한국일보>도 열린우리당 내 재야파 중에서 유인태·원혜영·이호웅 의원 등이 후배 의원들을 골프장에 데려가는 애호가라고 보도했다. 또 김한길 열린우리당 원내대표가 경선과정에서 40~50명의 의원을 골프로 접촉했고, 강재섭 전 한나라당 원내대표도 지난해 경선에 대비해 6개월 넘게 매주 1, 2팀을 꾸려 의원들과 골프회동을 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정당의 '회동 문화'가 이렇다면, 절반은 뚝 떼어내자. 골프장 부킹의 절반 정도는 회원권을 가진 동료 의원의 '배려' 덕이라고 치자. 인심을 적게 썼다면 70%, 80%라고 해도 좋다.
문제는 나머지 경우다. 동료 의원이 아닌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골프장을 들락거리는 의원들을 어떻게 봐야 할까? 에둘러 갈 것도 없다. 이해찬 총리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정치인과 가깝게 지내고자 하는 사람의 도움으로 골프장을 들락거리고, 더 나아가 비용도 그 쪽에서 댄다면? 이건 누가 봐도 '접대'에 해당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직무 관련성 접대일 수 있다. 한나라당이 어제(6일) 이 총리를 국회 윤리특위에 제소하면서 내건 이유, 즉 국회의원의 품위를 해치는 행위일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윤리위반 행위, 또는 범죄 행위가 발생할 수 있는데도 꼬리를 잡기는 쉽지 않다. <한국일보> 지적처럼 "외부인사와 치는 골프는 한나라당 곽성문 의원의 술자리 난동처럼 문제가 되지 않은 이상 잘 드러나지 않는다." 이게 문제다.
국민이 문제삼는 건 골프 그 자체가 아니다. 탁 트인 산야에 나갔으면 원기나 충전할 일이지 '요정식' 행태만 답습하니까 문제삼는 것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