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옛 의복과 관련된 용어는 어떤 것이 있을까 | | | | * 철릭 : 직령(直領:깃이 곧은 겉옷)으로, 허리에 주름이 잡히고 넓은 소매가 달린, 무관이 입던 공복의 한 가지. * 사모(紗帽) : 관원이 관복을 입을 때 쓰던, 검은 사(紗)로 만든 모자로, 오늘날에는 흔히 전통 혼례 때 신랑이 쓴다. 오사모(烏紗帽). * 이엄(耳掩) : 관복을 입을 때 귀를 가리기 위해 사모 밑에 쓰던, 모피로 된 방한구. * 단령(團領) : 조선 시대, 깃을 둥글게 만든 공복(公服)의 한 가지. 벼슬아치가 평소 집무복으로 입던 옷. * 각대(角帶) : 벼슬아치가 예복에 두르던 띠를 통틀어 이르는 말. 각띠. * 답호(쾌자(快子)) : 조선 시대에, 벼슬아치가 입던 관복 또는 군복의 한 가지. 조끼 모양이며 뒷솔기가 단에서 허리께까지 트였고 길이가 두루마기처럼 길다. 전복(戰服). * 토수(토시) : 한복을 입을 때 팔뚝에 끼워 추위나 더위를 막는 제구. 한 끝은 좁고 한 끝은 넓게 생겼는데, 겨울용은 비단·무명 따위로 만들고 여름용은 대나무, 등나무 따위로 만든다. 투수(套袖). * 행전(行纏) : 한복 바지를 입었을 때, 발목에서 장딴지 위까지 바짓가랑이를 가든하게 둘러싸는 물건. 각반(脚伴). * 적삼 : 윗도리에 입는 홑저고리. 단삼.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