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전력증강을 전제로 한 작통권 환수는 예기치 못한 부작용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사진은 지난 3월 30일 진행된 한미연합전시증원연습(RSOI) 모습.오마이뉴스 권우성
논란은 엉뚱하게도 이념 논쟁으로 흐르고 있지만, 전시 작전통제권(이하 작통권) 환수 문제는 대단히 복잡한 사안이다.
보수진영에서 주장하는 '한국군의 능력 부족'이나 '한미동맹 와해'는 단세포적 발상에서 나온 것이라고 하더라도, 작통권 환수는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을 비롯한 재편되고 있는 한미동맹의 성격과 남북관계, 그리고 막대한 국방비 부담에 따른 사회복지 문제 등 여러가지 변수들이 중첩되어 있는 '고차방정식'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작통권 환수의 득실과 그 결과에 대한 차분한 정책 토론 없이, 작통권을 환수하면 마치 나라가 망할 것처럼 국민들에게 협박을 일삼고 있는 일부 언론과 안보 전문가들의 행태는 무더위와 맞물려 불쾌지수만 높여주고 있다.
작통권 환수, 차근차근 따져 보자
사실 작통권 환수 문제는 따져볼 것이 너무나 많다. 가장 중요하게는 '왜 미국이 작통권 이양에 적극적인가'를 규명하는 것이다.(이에 대한 자세한 분석은 이 글의 '중편' 참조) 이와 관련해 보수진영에서는 '반미감정'을 운운하지만 과연 노무현 정부가 반미 노선을 취해왔는지, 그리고 미국이 기분 나쁘다고 양보하지 않을 것을 양보하는 나라인지는 의문이다.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과 함께 또 한가지 중요한 문제는 작전계획에 있다. 계획대로 작통권이 환수되면, 한미연합사는 해체되고 한미 양국은 독립적인 사령부를 구성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한미 양국은 작전계획도 독자적으로 수립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참고로 연합사 체제에서는 주한미군 사령관이 연합작전계획의 수립·변경 권한을 갖고 있다.
문제는 주한미군 사령부가 연합사 체제에서 분리될 경우, 혹은 연합사 해체이후 주한미군 사령부가 태평양 사령부 예하로 편입될 경우 미국의 대북 작전계획이 한국의 개입 및 통제 범위에서 더욱 멀어질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연합사 체제에서는 미국이 작전계획 수립 및 변경 권한을 갖더라도 한국과 상의해서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작년에 논란이 인 바 있는 '작계 5029'에서 알 수 있듯이, 연합사 작전계획은 미국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할 수밖에 없는 구조에 있다. 5029에 대해 한국 정부가 주권 침해와 한반도의 평화를 위태롭게 하는 요소가 있어 작계로 만드는 것은 곤란하다는 입장을 전달해 이를 개념계획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한 바 있고, 미국은 작계와 개념계획 사이에는 본질적인 차이가 없다며 이러한 입장을 수용한 바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작통권 환수는 한국군이 독자적인 작계를 수립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한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주한미군의 작계에 개입할 수 있는 여지가 좁아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미국은 북한과 같은 대량살상무기(WMD) 보유 국가를 겨냥해 다양한 작계를 수립하고 있어 이러한 우려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방비, 너무 많이 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