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많은 녹지와 쉼터는 서울시민들의 품으로 돌아가야 할 것이다.환경운동연합
건교부가 진실로 81만평을 공원으로 조성하겠다면 미군과 국방부가 요청한 부지에 대해서 우리 정부가 어떤 입장인지 정확히 밝혀야 한다.
반면 건교부는 공원접근시설과 공원의 문화, 휴양시설 조성을 위해 용도변경이 필요하고 건교부가 용산공원 조성을 맡아야 한다는 주장도 펴고 있다. 건교부는 분당선을 연장하여 용산역까지 연결하면서 용산부지 내에 전철역을 설치하고 지하복합공간을 조성할 구상을 흘리고 있다. 이런 것을 공원 조성 사업으로 간주하는 건교부의 해석과는 달리 많은 사람들은 이것을 전형적인 개발 사업으로 볼 수밖에 없다.
캠프 킴, 유엔사, 수송단 등 본 기지와 인접한 미군기지 5만 8천평의 용도도 사회적 공론화를 거쳐 정해야 한다. 미군기지 이전 비용 마련과 반환 용산기지 활용을 구분해야 한다는 논리와 주장이 대중적 설득을 얻는 상황에서 산재 미군기지라도 개발해야 한다는 논리는 근거가 희박하다.
우리가 용산기지를 활용할 땐 사회적 공론화를 통해 용산 공원화의 원칙과 방향을 정해야 할 것이다. 인접 기지도 반환받는 용산기지의 일부이기 때문에 이런 원칙과 방향은 동일하게 적용해야 한다.
인접 기지를 개발한다면 그것이 본기지 공원화와는 어떻게 구별되는지, 또 인접 기지 주변 정비 방침과는 어떻게 조화를 이룰 것인지 함께 고려해야 할 과제가 한 둘이 아니다. 인접 미군기지 개발에 앞서 서울시와 정부는 용산공원이 부자들의 앞마당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경관의 독점화 혹은 사유화를 막을 방안부터 마련해야 한다.
'용산공원 마스터플랜' 먼저 제시해야
정부는 2045년에 용산공원 완공하겠다고 일정을 밝혔다. 124년간 외국 군대의 주둔지로 내 주었던 수도 서울의 중심지를 민족의 자존심을 회복하는 역사 공간으로 보전하면서 세계에 자랑할 도심 생태공원으로 만드는 대역사는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정부는 조급하게 서두르며 개발 위주의 '용산공원 특별법'을 밀어붙이기 보다는 더 많은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광범위하게 수립하여 용산공원의 경계와 용산공원의 성격을 명확히 하는 용산공원 마스터 플랜부터 제시해야 할 것이다.
기지 이전 비용과 용산 공원 조성 비용 마련도 다양한 전문가는 물론 시민의 지혜를 모아서 함께 풀어야 한다. 도시 공원은 조경공사가 좌우하는 것이 아니라 이용하고 사랑하는 시민들에 의해 달라진다. 시민의 외면을 받는다면 용산 공원도 또 하나의 개발사업에 불과할 것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이상훈 환경운동연합 정책실장이 썼습니다.
환경운동연합 홈페이지(http://kfem.or.kr)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자연과 공존하는 초록의 길에서, 지구 그리고 당신과 함께합니다"
8만회원, 54개 지역환경연합, 5개 전문기관, 8개 협력기관으로 구성된 환경운동연합은 전국 환경 이슈의 현장 속에, 그리고 당신의 생활 속에 언제나 함께하고 있습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