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한국일보 강당에서 '대립과 갈등의 시대, 진정한 소통을 위하여'란 주제의 강연을 하고 있는 신영복 성공회대 석좌교수이명옥
"대립과 갈등을 푸는 것이 현재의 가장 큰 문제입니다. 언론이 소통의 중심이 되어야 하는데, 현재의 언론은 사람들의 신뢰를 잃었죠. 누가 뭐라고 해서 (단번에) 풀리는 문제가 아닙니다. 그건 우리 사회가 오랫동안 쌓아온 우리만의 고집이기 때문이죠. 이런 점에서 한국 사회는 보통 고집 센 사회가 아닙니다"
대립과 갈등이 넘쳐나는 한국 사회에 '진정한 소통'이란 화두가 던져졌다. 이것은 신영복 성공회대 석좌교수가 지난 22일 한국일보 강당에서 열린 프레시안 창간 5주년 기념 강연회에서 제기한 주제였다.
신영복 교수는 사람보다는 물질이, 인문학보다는 돈 되는 학문에 맹목적인 가치를 두고 있는 지금 인간다운 관계를 어떻게 맺을 수 있는지를 묻고 있었다.
자본 중심의 사회, 소통의 장 만들기 힘들어
"쌀과 구두는 같지 않아요. 그런데, 시장에서 쌀과 구두는 동등한 가치로 교환되고 있어요. 이 과정에서 쌀과 구두의 정체성은 사라지게 되죠. 사람 = 연봉 1억. 이 경우 역시 인간의 가치에 대해 묻기보다는 오히려 현실에선 돈만 많이 벌면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신 교수는 갈등과 대립의 원인을 자본에서 찾는다. 왜냐하면, 물질적인 이해관계가 중심이 되는 사회에서 이해관계의 대립을 뛰어넘을 수 있는 소통의 장을 만들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신 교수는 대립과 갈등 속에는 ‘목표’, ‘속도’, ‘효율’, ‘승패’를 중시하는 자본의 논리 역시 숨어있다고 말했다.
“자본은 회전속도가 빠를수록 더 많은 이익이 납니다. 계속 빠르게 증식하지 않는 돈은 자본이 아닌거죠. 자본주의 사회는 바로 이런 자본의 운동법칙이 관통하고 있습니다.”
그는 이런 사회에서는 목표만 달성되면 다른 모든 수단이 합리화되고 승패중심의 사회가 되어버린다고 말한다.
“목표의 달성으로 모든 수단이 합리화되는 사회에서는 게임의 룰이 없어집니다. ‘성공한 쿠데타는 처벌할 수 없다’고 말엔 기득권의 논리가 숨어 있는거죠."
결국, 과정 그 자체가 존중되지 않는 사회가 된다는 것이다.
신 교수는 지난 15일 고려대에서 열린 ‘인문학 선언’을 언급하며 인문학의 위기 역시 이런 자본의 논리에서 비롯된 것임을 강조했다.
"조선시대에는 완성적인 인간을 만드는 것을 이상적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문사철시서화(文史哲詩書畵)를 하며 이성적인 것과 감성적인 것을 다 배웠죠. 그런데 요즘 대학은 돈 되고 잘 팔리는 것이 중심이 되어버렸습니다."
관계성이 아닌 배타성이 갈등의 원인
또한 신영복 교수는 우리 사회가 자신의 존재성을 배타적으로 강화하는 과정에서 대립과 갈등을 일으킨다고 말한다.
“근대사회의 핵심은 강자가 자신을 계속 키우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춘추시대에는 수십 개의 국가들이 12개로 그리고 그것이 전국시대에는 7개로 합쳐졌고 결국엔 진나라로 흡수 통합됩니다. 그런데, 하나로 되어가는 과정에서 수많은 살상과 파괴가 있지 않았습니까.”
이와 같은 과거의 대립과 갈등은 현재의 금융 자본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말한다.
"현재의 금융 자본은 가치 창출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큰 자본이 작은 자본을 삼키는 것이지요."
그러나 신 교수는 대립으로 탄생한 현재의 금융 자본은 결코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역사적으로 강자의 말로를 봅시다. 수많은 대립과 갈등 속에 생겨난 진나라 역시 약소국의 연합에 의해 얼마 안 돼서 망하지 않았습니까. 다른 사람의 희생에 의한 공적은 냉정히 바라보아야 합니다.”
나를 완성하는 과정, 먼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