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권위있는 군사전문지 '글로벌 시큐리티'가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북한의 핵실험 가능지역으로 지목한 길주군 풍계리 풍계역 주변 위성사진.연합뉴스
북한이 끝내 핵실험을 강행했다.
이로써 길게는 북한의 영변 핵시설 가동이 포착된 1980년대 중반 이후 20년만에, 짧게는 2002년 10월 북미간에 우라늄 농축 문제를 둘러싸고 충돌이 벌어진 지 4년만에 북핵 문제는 새로운 국면에 진입하게 되었다. 그동안 추정으로 존재해왔던 북한의 핵무기 보유가 공식적으로 확인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반도는 1994년 전쟁 위기 이후 최대의 위기를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우려된다.
당장 김대중-노무현 정부로 이어져온 대북포용정책은 총체적인 위기에 직면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여러 가지 우여곡절에도 불구하고 남북한을 잇는 끈으로 작용해온 금강산 관광사업과 개성공단 사업도 핵실험의 유탄을 맞아 휘청거릴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대북 포용정책 총체적 위기...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한다면
한반도 밖에서의 움직임도 숨가쁘게 전개될 것이다. 미국과 일본 등 대북강경책을 주도해온 국가들은 북한의 핵실험을 강력히 비난하는 한편, 유엔 안보리를 통한 본격적인 대북 제재를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유엔 안보리는 의장 성명을 통해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하면 유엔 헌장에 따라 그 책무에 맞는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어, 이번에는 대북 제재가 포함된 유엔 안보리 결의안 채택을 논의하게 될 것이다.
특히 미국과 일본은 영국·프랑스 등 다른 안보리 상임이사국의 지원을 받아 경제·군사적 제재까지 가능한 유엔 헌장 7조를 새로운 결의안에 포함시키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과 러시아가 이에 어떠한 반응을 보일 지는 한반도의 향후 정세에 중대한 변수가 될 것이다.
이들 국가가 대북 제재에 동의할 경우 "제재를 선전포고로 간주한다"는 북한의 입장과 정면 충돌하면서 한반도 정세는 초유의 위기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추가적인 상황 악화는 안 된다"며 대북 제재에 반대하거나 그 수위를 낮추는 데 주력한다면 위기 지수는 그만큼 낮아질 수 있다.
그러나 중국과 러시아는 지난 7월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 직후, 강경 기조의 대북 결의안에 찬성한 바 있고 국제여론 역시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처지에 있기 때문에, 대북 제재를 반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이들 국가는 대북 제재가 포함된 유엔 안보리 결의안에는 찬성하고 대북 제재에는 동참하지 않는 것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