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워드 호주 총리TWT
정치인들이 유권자들의 눈치를 보는 것과 비슷한 맥락으로, 호주당국은 맹방인 미국의 눈치를 살피면서 호주를 먹여 살리다시피 하는 중국의 입장까지 배려해야 하기 때문에 힘들어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존 하워드 총리가 10월 9일의 의회답변을 통해 "북한은 한 마디로 국제사회의 무법자(International Outlaw)다, UN이 북한 핵문제를 어떻게 처리하는 지 두고 보겠다, 유엔헌장 제7장에 근거한 안보리의 강력한 제재조치를 요구한다, 특히 호주와 연대하고 있는 APEC과 아세안 국가들에게도 동참을 촉구한다"고 발언한 것도 미국이 바라는 바를 호주가 대신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중국 쪽을 아우르기 위해서 알렉산더 다우너 외무장관이 나섰다. 그는 천 대사에게 "중국은 북한이 받는 원조의 약 80%를 제공하고 있으며 외교적으로 불리함을 감수하면서 북한의 입장을 두둔하고 있다, 그런 중국에게 굴욕감을 안겨준 것은 미국이나 호주의 요구를 묵살하는 것과 차원이 다르다"고 말해서 중국을 배려하는 제스처를 보였다.
야당들도 한몫씩 거들었다. 제1야당인 노동당의 킴 비즐리 당수는 9일 의회발언을 통해 "노동당은 북한의 핵실험을 침략행위로 규정한다, 아울러 하워드 총리가 빠른 시일 안에 지역외무장관회의 소집을 주도할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존 하워드 총리가 비즐리 당수의 제안을 즉석에서 받아들인 건 두 말 할 나위가 없다.
다만 호주녹색당은 북한의 핵실험과 관련해서 "세계평화를 위협하고 있는 북한을 비판한다, 아울러 핵에너지를 구실로 우라늄 개발에 열심인 호주정부도 자성의 기회를 가져야 한다"고 말해 북한의 핵개발을 비난하면서 우라늄 수출에 진력하고 있는 호주의 2중성을 함께 비판했다
우라늄 매장량 세계 1위의 호주
세계 최대 우라늄 매장량을 갖고 있는 호주는 캐나다에 이어 제2의 우라늄 수출국인데 향후 전 세계 우라늄 수요의 3분의 1을 공급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지난 4월에는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가 호주를 방문해서 매년 2만 톤의 호주산 우라늄을 20년 동안 공급받는다는 계약서에 서명했다. 그러나 호주는 NTP 가입을 거부하는 인도와의 우라늄 수출계약을 재고하고 있다.
호주산 우라늄의 최대 수입국인 일본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폴 키팅 전 호주 총리는 10일 시드니대학교에서 행한 연설을 통해서 "북핵이 주변국가인 일본, 한국, 대만 핵무장의 빌미가 될 가능성이 높은데, 특히 일본은 항상 주목해야 할 나라"라고 말했다.
제3당인 민주당 소속의 린 앨리슨 당수는 조금 색다른 견해를 피력해서 눈길을 모았다. 그녀는 "북한제재를 서두를 이유는 없다, UN이 신중하게 검토해서 처리하면 된다,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번 기회를 통해서 미국을 포함한 8개 핵보유국들에도 자신의 문제를 돌아보라고 권고해야 한다"면서 "전 세계에 2만7000개의 핵무기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만 압박하는 건 모순"이라고 말했다.
한편 채널7의 인기프로그램인 <선 라이스>의 진행자 데이빗 코시는 세계 각국의 핵무기 보유 숫자를 반복적으로 알리면서 "북한은 막 시작했을 뿐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200개 이상의 핵무기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진 이스라엘을 상기시키면서 "국제사회가 수평감각을 잃었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