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4일 성균관대에서 열린 '방송계 지망생을 위한 특별 강연회'에 참석한 손석희 교수.최훈길
<시사저널>이 매년 실시하는 '누가 한국을 움직이는가' 여론조사에서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손석희 성신여대 교수(문화정보학부)가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인 1위로 뽑혔다.
이에 대해 손 교수는 지난 24일 성균관대에서 열린 강연에서 "영향력 있는 언론인은 권위적인 냄새가 나서 싫습니다"면서 "제가 한 것은 질문밖에 없습니다, 오히려 신뢰받는 언론인이라는 말을 듣고 싶습니다"고 소감을 밝혔다.
'방송계 지망생을 위한 특별 강연회' 연사로 참석한 손 교수는 1시간 30여분 동안 1등 언론인의 모습이기에 앞서 1등 교수님의 모습으로 대학생들과 격의 없는 대화를 나눴다.
"2000년에 성대 겸임교수로 있을 때 4학기 동안 5과목을 맡았습니다. 매번 다른 과목을 맡기시더라구요. 죽으라는 얘기였죠. 그런데 그때 똑같은 학생들이 (제 수업을 들으러) 계속 절 따라 다니는 겁니다. 믿기 어려우시겠지만, 지금까지 연락 와서 밥 사 달라고까지 합니다. 인연이라는 것이 참 대단해요."
손 교수는 그 당시 성대에서 가르쳤던 학생들의 후배들을 만나서 반갑다는 말부터 꺼냈다. 앉을 자리가 모자라 서 있는 학생들에게 "왜들 이리 서 계시나요. 앉을 방법이 없나요? 없나 봅니다. 그럼 이쪽 앞으로 나오세요"라고 자신이 진행하는 방송 MBC <시선집중> 특유의 말투로 말하며 학생들을 챙겼다.
'방송계 입사 준비 취업 특강'이었지만, 손 교수는 "방송이라는 것이 수돗물과 같아서 틀면 나옵니다"며 "늘 틀면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굳이 설명을 안 해도 아실 겁니다"고 말했다. 그리고 지금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시작했다.
"광고 고민부터 든다"
영향력 1등인 언론인이 고민하고 있는 것은 뭘까? 현재 MBC 라디오의 <손석희의 시선집중>과 MBC TV <100분 토론>의 진행을 맡고 있는 손 교수는 광고 때문에 웃고 울고 있었다.
손 교수는 우선 학생들에게 엄숙주의, 도덕주의에 빠지지 않고도 광고주들이 광고를 못 넣어서 안달이 나는 시사교양프로그램을 얘기해 달라고 주문했다. 그러자 학생들은 <그것이 알고 싶다>, <느낌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의 이름을 대답했다.
이에 손 교수는 "왜 이렇게 TV만 생각하십니까, 손 아무개가 방송하는 <시선집중>이 있지 않습니까!"라고 말하면서 학생들의 웃음을 자아냈다. 현재 <시선 집중>에 나오는 광고는 경매까지 할 정도로 인기가 있다고 한다. 반면에, <100분 토론>의 광고 상황은 이와 정반대라고.
"<100분 토론> 광고 수주율이 2005년에는 70%까지 갔는데, 지난 8월에는 49%였습니다. 점점 떨어지고 있습니다. 더욱이 다음 개편에서는 <100분 토론>이 밤 12시 10분으로 5분 더 늦게 방송되기까지 합니다."
예전에 대장금과 패키지로 광고가 나갈 때는 시사프로그램 광고도 잘 나갔다고 한다. 방송 전에 7분 정도 광고가 나간 적도 있을 정도니까, 적어도 광고가 20개 이상은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요즘 손 교수는 "큐 시트(Q sheet) 받을 때 광고가 하나도 없지 않을까 하는 고민부터 든다"고 말했다.
손 교수의 고민은 광고에 대한 압박이라는 현실적인 고민에만 그치지 않았다. 손 교수의 머릿속에는 공익성 있는 프로그램을 어떻게 하면 많은 사람이 볼 수 있게 만들 수 있을까라는 고민이 가득했다.
"TV에서 시사프로그램이 가질 수 있는 포맷(format)이 뭘까 고민해야 합니다. <시선집중>은 다른 게 없습니다. 오로지 전 질문만 할 뿐입니다. (그래도) 질문만 함으로써 '라디오 저널리즘'을 만드는 게 가능했습니다.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인으로서 손석희가 나오는데, 내가 한 것은 질문밖에 없습니다."
사실 '질문'이라는 것은 새로운 그 무언가가 아니지 않은가. 손 교수는 "새로운 것도 중요하지만 이미 존재했던 것을 새롭게 만드는 것 역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라디오'라는 올드 매체의 강점인 기동성, 상상력을 자극하는 것, 독자와의 밀접한 거리를 잘 이용하는 것 역시 주요했다고 설명했다.
그래서 손 교수는 요즘 방송계의 위기 역시 분명히 풀릴 길이 있음을 강조했다.
"방송사 공중파의 영향력이 과거에 비해 많이 떨어졌다고는 하나 방송사가 없어질 수는 없습니다. 매체의 변화가 있다 하더라도 어디든 능력 발휘할 곳은 있습니다. 결국 다른 매체와의 융합을 통해 남는 것은 콘텐츠입니다."
약 1시간 동안의 강연 후 학생들과 질의 응답하는 시간이 마련되었다. "늦깎이 공부하시면서 운 적도 있다고 들었다", "MBC 뉴스데스크 시청률이 KBS의 반 토막도 안 된다"와 같은 약간은 불편한 질문에도 손 교수는 흔쾌히 화답했다.
오히려 "운 적 한 번밖에 없다", "뉴스데스크 시청률은 반 토막이 아니다"라고 정공법으로 말하며 술술 이야기를 풀어가는 모습에서 1등 언론인의 면모를 엿볼 수 있었다.
"전 인간관계를 만들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