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맨하탄 14번가 주변에 흩어져 있는 뉴스쿨 각 대학 건물들의 지도.하승창
뉴스쿨은 1919년에 경제학자 베블런(Thorstein Veblen), 역사학자 비어드(Charles A. Beard), 철학자 듀이(John Dewey) 등이 설립한 성인교육기관이 그 출발이었다.
당시 시작한 학교의 명칭은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이며 미국의 첫 번째 성인교육기관이기도 했다. 초기 교수진은 경제학자 케인스(John Maynard Keynes), 영국의 철학자 러셀(Bertrand Russell), 미국의 저술가 두보이스(W.E.B. Du Bois) 등이었다.
대학으로 정식 인가받은 1934년 이후 교수진들은 대개 나치의 박해를 피해서 미국으로 온 유대계 학자들이 많았다. 이들은 전체주의에 반대하는 정치철학과 사회주의 사상을 중심으로 가르쳤다.
이들 가운데 (뉴스쿨의 전임교수가 된 것은 1965년이지만) 대표적으로 한나 아렌트(Hanna Arendt)가 있다. 몇 년 전 타계한 하일브로너(Robert Heilbroner) 같은 미국내 대표적인 진보적 경제학자(세속의 철학자들이라는 초기 작품이 장상환 교수의 번역으로 나와있다)는 은퇴할 때 까지 내내 뉴스쿨에 몸담고 있었다.
지금의 교수진들도 흑인민권운동 시절, 대학에서 진보적 가치에 대한 세례를 받았던 세대들이 적지 않다고 한다. 당시 사회주의 학생동맹 의장을 했던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 앨빈 토플러(Alvin Toffler)도 이 대학 교수를 지냈다.
최근 타계하신 강원용 목사, 또 생태 운동가 황대권씨가 이 곳에서 공부했다.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대부> 등에서 인상깊은 연기를 남기고 떠난 말론 브란도도 이 학교 출신이다.
지금도 이 학교 홈페이지에는 "학교와 뉴욕은 2차대전 전후로 수많은 유대인들의 성소가 되었으며 그들은 동시대 어디에도 없었던 도시의 지적인 생활을 풍부하게 만들었다… 대단한 1년이었다"는 말론 브란도의 말이 남겨져 있다. 비록 1년 밖에 다니지 않았지만 이 곳이 자신에게 준 영향이 어떠했는지를 드러내는 말이다.
서열화? '학풍' 보고 학생들이 평가
이 곳에서 유학하고 있는 신희영씨에 따르면 이 대학을 찾는 미국내 학생들은 이미 고등학교 시절에 정치경제학에 관심이 있거나 사회문제에 관심이 많았던 학생들이 찾아오는 경향이 많다고 한다.
우리 사회에서는 학풍이 뚜렷하거나, 전통이나 교수진의 면면을 보고 학교를 선택하는 건 흔치 않은 일이다. 학교가 그 학교의 독특한 학풍이나 특별한 분야에서의 우수성으로 판단되기 보다 학교 자체가 서열화되어 평가되고,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도 처음부터 그 서열을 염두에 두고 공부한다.
대부분은 그 성적과 가고 싶은 대학의 학과와는 거리가 먼 게 현실이고 가고 싶은 대학의 학과 보다는 자신의 성적에 맞는 대학 중 서열이 높은 대학에 갈 수 있는 '과'를 택하는 것이 흔한 일이다. 결국 입시성적 자체가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는 기준이 되는 셈이다.
그런 점에서 성공회대학은 독특한 편이다. 성공회대학을 선택하는 모든 학생이 그런 것은 아니겠지만 상대적으로 성공회대학을 택하는 경우, 자신의 이념적 지향이나 가치에 맞는 대학을 선택하겠다는 학생들이 있다는 것은 알려진 대로다. 성공회대학의 면접시험에서 신영복 선생님 때문에 성공회대를 택했다는 답변은 면접방법으로도 알려져 있으니까.
이 곳 미국도 익히 아는 것처럼 마찬가지로 아이비리그의 대학을 중심으로 한 대학평가에 따른 서열은 선택을 위한 중요한 자료이다. 저 택사스 촌구석에서 하바드나 예일을 가게 되면 마치 우리가 서울대에 간 것처럼 좋아하는 것은 마찬가지니까.
<웨스트 윙>이라는 미국 드라마를 보면 미국 사회에서의 파워엘리트들도 결국 하바드, 예일을 나왔다는 사실과 SAT 점수가 어떻게 되느냐로 자신의 명민함을 자랑하는 것을 보면 뭐 그렇게 큰 차이가 있어 보이지 않는다.
어쨌든 어딜 가든 한국사람 많은 것은 여기도 예외는 아니겠거니 생각해서 한국학생도 꽤 되지 않느냐고 물었더니 무척 많다고 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고 한다. 무슨 그런 말이 있나 싶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