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민속촌에서 만난 장독대정철용
한밤중에 요의를 참지 못해 깨어나 무서움에 떨면서 마당을 가로질러 뒷간으로 가면서 아직 어렸던 나는 광 위의 장독대를 바라보지 않으려고 얼마나 애를 썼던가. 하지만 마음은 그러면서도, 바라보고 있지 않으면 오히려 그 틈을 타서 유령들이 내게 달려들 것만 같아 내 눈길은 자석에라도 끌린 듯 저절로 장독대 쪽을 향하곤 했다. 마치 내 눈길이 유령의 손길을 막아내는 방패라도 되는 듯이 말이다.
하지만 그렇게 마당을 건너 뒷간까지는 무사히 닿았다고 해서 안심할 일은 아니었다. 이제는 장독대의 검은 유령 대신에 냄새나는 뒷간의 아래쪽 어둠 속에서 불쑥 솟아 나올지도 모르는 귀신의 빨간 손을 대적해야 하기 때문이었다. 뒷간의 발판에 서는 순간, 귀신의 빨간 손이 내 발목을 꽉 붙잡을지도 모른다는 공포에 질려, 나는 변소 안으로 들어가지도 않고 문밖에 선 채로 대충 겨냥하여 볼일을 보곤 했다. 다음날 아침, 어머니로부터 지청구를 먹을 게 분명했지만 거기까지 생각이 미칠 겨를이 없었다.
다행히 내가 볼일을 다 마칠 때까지 귀신이 출몰한 적은 한 번도 없었다. 그렇게 무사히 볼일을 마치고 마당을 가로질러 집안으로 들어가면서 나는 다시 장독대를 바라보았다. 이번에는 공포가 아닌 평안한 마음이었으면 좋으련만, 항아리들이 웅크리고 앉아 있는 장독대의 어둠 속에서 누군가 튀어나와 내게 달려들 것만 같은 느낌이 여전히 들어, 나는 후다닥 집안으로 뛰어 들어가곤 했다.
사실 둥그런 뚜껑을 머리에 이고 앉아 있는 커다란 항아리들의 자태란 어쩐지 사람과 닮은 모습이어서, 어둠 속에서 힐끗 보면 그게 항아리인지 사람인지 구별하기가 힘들다. 아주 심각한 복부비만이 아닌 다음에야 사람의 몸매를 어찌 항아리에 비유할 수 있으랴마는, 박형준 시인이 위 시에서 말하고 있는 것처럼 동그란 옹기는 어머니의 두둑한 허리를 연상시키는 면이 없지 않다.
이러한 느낌에 더해서, 초등학교 시절에 침을 꼴깍꼴깍 삼키며 읽었던 <알리바바와 40인의 도적> 이야기는, 내가 항아리를 볼 때마다 늘 사람의 몸을 연상하게 되는 이유가 되었다. 알리바바가 훔쳐간 보물들을 되찾기 위하여 기름 장사로 변장한 도적 두목이 수레에 싣고 온 커다란 항아리들처럼, 이 세상의 모든 항아리들의 뱃속에는 사람이 하나씩 들어가 앉아 있으리라고 내게는 여겨졌던 것이다.
그런데 그 사람은 대낮에는 밖으로 나올 수 없고 어두워져야 살그머니 뚜껑을 열고 나올 수 있으니, 유령일 수밖에 없는 존재가 아닌가! 알리바바는 지혜로운 아내를 둔 덕택으로 도적의 졸개들을 항아리 속에서 영원히 나오지 못하게 할 수 있었다. 그들은 정말로 항아리의 유령들이 된 것이다!
알리바바가 그 항아리들을 어떻게 처리했는가에 대한 후일담이 없기에 장담할 수는 없지만, 어쩌면 이 재미난 이야기 속의 항아리들 중에서 몇 개쯤은 비단길을 통해서 우리 조선 땅에까지 흘러 들어왔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그러니 전부는 아니더라도 정말 몇 개쯤은 유령을 품고 있는 항아리들이 아직도 있을지도 모르는 일. 그리고 그런 항아리들 중에서 유난히 커다란 것들은 어느 가난한 민가의 변소 아래서 오줌과 똥덩어리를 받아내는 용도로 쓰였을지도 모르는 일.
박형준 시인이 어릴 때 살던 집이 그런 집들 중의 하나였던 모양이다. 그러나 시인은 나처럼 무서워하기는커녕, 지붕도 없는 그 변소에 앉아서, 그 아래 자신의 똥을 받아내고 있는 옹기의 꿈을 읽고 있으니 놀랍다. 항아리를 보는 그의 눈길에는 항아리의 유령보다는 어머니의 두둑한 허리가 먼저 보였던 모양이다. 그래서 그는 '나는 이곳에서 태어나서 이곳에서 죽을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