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오마이뉴스 이종호
해답을 얻으려면 시선을 돌려야 한다. 정운찬 전 총장이 아니라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에게 시선을 맞춰야 한다. 그럴 이유가 있다.
김근태 의장은 어제,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두 사람을 거론했다. 고건 전 총리와 정운찬 전 총장이다. 고건 전 총리에 대해서는 "함께 하는 것에 대해 논쟁이 불가피한" 인물이라고 했다. 고건 전 총리가 내세운 '가을 햇볕정책'에 대해 "안 맞는 얘기"라고 비판도 했다.
반면 정운찬 전 총장에 대해선 "좋은 사람이고 역량이 있으며 충분한 자격이 있다"고 한껏 치켜세우며 "(정치 참여) 결단을 내려주면 좋겠다"고 했다. 무슨 얘기를 나눴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최근에 서울의 모 호텔에서 직접 대면한 일도 있다고 한다.
김근태 의장이 태도를 정했다면 그 여파는 길고 넓게 미친다. 두 가지 점에서 그렇다.
김근태 의장이 정운찬 전 총장의 정치 참여를 종용했다면 그와 동시에 '약속어음'을 발행했을 가능성이 높다. 자신의 경선 불출마다.
어찌 보면 이건 당연하다. 아무리 100% 국민 참여방식으로 경선을 치른다 해도 조직이 있고 없고의 차이는 크다. 하지만 정운찬 전 총장은 여권에 돗자리 펼 땅뙈기 한 평 없다. 단기필마는 고사하고 올라 탈 당나귀 한 마리 없는 정운찬 전 총장에게 김근태 의장이 무턱대고 '결단'을 강요할 리는 없다.
정운찬 전 총장이 "정치를 하지 않는다고 단언할 수 없는" 상황까지 왔다면 "경선에서 무력하게 패배하지 않는다고 단언할 수 있는" 여건도 충분히 검토했을 것이다. 바로 김근태 의장의 지원이다.
김근태 의장이 불출마를 작심했다면 그 여파는 정동영 전 의장에게 미친다. 김근태 의장이 백의종군 하는 마당에 정동영 전 의장이 사모관대 걸치고 말을 탈 수는 없는 노릇이다.
열린우리당, 더 나아가 참여정부의 비주류였던 김근태 의장마저 백의종군을 하는 마당이다. 하물며 열린우리당 주류의 좌장이었고 참여정부 2인자였던 정동영 전 의장이 버티는 건 겸연쩍은 일이다.
여권 내 유력주자 두 명이 불출마로 가닥을 잡으면 오픈 프라이머리는 말 그대로 완전히 오픈 된다.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이 과정에서 이벤트 효과가 어느 정도 나타날지는 알 수 없지만 '새 바람'이 불 건 분명하다.
고건 전 총리의 앞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