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산타 활동이 끝나면 이제 마을 골목길에서 만나는 옆집 삼촌으로 그 아이와 다시 만나게 된다.김형우
우리 마을 어린이집에 다니는 한 아이의 이야기. 크리스마스가 '산타의 날'인 줄 알았다는 그 아이는 크리스마스의 진짜 주인공이 따로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는 깜짝 놀랐다고 한다.
사실 진짜 놀랄 일은 그 아이의 오해 그 자체가 아닐지. 설상가상으로 예수께서 말구유에서 태어나셨고 고아와 과부와 같은 가난한 사람들의 친구가 되어주셨다는 어린이집 선생님의 친절한 설명을 툭 자르며 아이가 던진 한마디가 압권이었다.
"아… 이웃산타요!"
이웃산타. 올해도 어김없이 서울시 강북구 곳곳에는 '이웃산타'라 칭하는 이들이 등장했다. 올해로 여섯 번째 맞는 이웃산타 활동은 돌봄이 필요한 아이들을 이웃 주민들이 직접 찾아 나서는 활동이다.
지난 12일 강북구 지역 주민 100여 명이 이웃산타가 되어 300여 가정 아이들의 구체적인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집을 찾아 나섰다. 6년 전 서너 명이 시작한 작고 의미 있는 활동이 강북 시민사회의 아름다운 전통으로 자리 잡게 된 것. 하여 우리 마을의 아이에게 크리스마스는 여전히 산타, 이웃산타의 날이 되어 버린 듯하다.
사라진 골목을 되찾기 위한 '이웃 산타'의 노력
@BRI@올해는 그간의 이웃산타 활동을 계기로 결성된 '좋은마을공동체이루기'라는 틀로 좀 더 본격적인 활동이 전개되었다. 강북구의 방과후공부방, 풀뿌리단체, 주민모임 등이 이웃산타 활동과 이를 통해 발굴된 아이들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돌보기 위해 뜻을 모았다. 그래서 올해는 참여 단체가 위치한 거점 별로 좀 더 구체적이고 세밀한 접근 방안을 마련할 수 있었다.
사실 이웃산타 활동은 좋은 마을 공동체를 이루기 위한 첫 걸음일 뿐이다. 그래서 이웃산타를 통해 발굴된 아이들을 위해 방학교실을 열거나, 지역 복지 사업과 연결될 수 있는 적절한 통로를 찾아주고 있다. 특히 '사랑의 책 배달부' 활동을 통해 아이들과 지속적인 만남을 이어 가고자 한다.
이는 결국 마을의 좋은 이웃, 좋은 이모와 삼촌이 되어 주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다른 말로 서울이라는 거대 도시에서 어떻게 '마을 살이'를 되살릴 수 있을까 하는 고민에서 나온 하나의 대답이다.
골목길.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사라진 마을의 대표적인 자취가 아닐까. 아이들이 뛰놀던 골목길은 없어지고 대신 주차장 또는 차도만 남았다. 골목길이 사라지면서 아이들 또한 사라졌다. 그러다 보니 우리 주변에 어떤 아이가 살고 있고,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도무지 알 길이 없어졌다. 골목에서 노는 이웃 아이의 점심을 옆집 아줌마가 먹여주고, 버릇없이 구는 아이를 부모대신 혼내주던 마을 문화도 골목길과 함께 사라졌다.
이렇듯 이웃산타 활동은 사라진 골목길을 되찾기 위한 매우 인위적(?)인 노력이다. 골목길에서 서로 만나 인사할 수 있는 관계를 만드는 것. 어찌 보면 참 보잘 것 없는 꿈일 수 있다. 하지만 골목 위에서 새롭게 재편되는 관계는 그 어떤 행정적 지원보다 촘촘하고 일상적이며 지속가능하다고 믿는다.
마을의 삶으로 전화할 때 '이웃'이 될 수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