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31일, 역대 국방장관과 합참의장, 육·해·공군 참모총장 등을 지낸 예비역 대장들이 31일 오전 서울 신천동 향군회관에서 작통권 환수 논의 중단을 촉구하는 성명을 채택하기 앞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오마이뉴스 남소연
그 뿐만이 아니다. 노무현 대통령의 군 복무기간 단축 방침이 세를 얻으면 얻을수록 전시 작전통제권 논란도 틀어진다.
전직 군 수뇌부가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를 반대하는 주된 논거는 방위력 약화다. 그런데 감군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군 복무기간 단축에 대해 야당이 묵시적 동조, 또는 중립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면 방위력 약화 주장의 설득력은 반감된다.
물론 별개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다. 전시 작전통제권 논란의 핵심은 한미연합방위체제 존속 여부이고, 한미연합방위체제의 노른자는 주한미군의 첨단 장비·기술의 공유 문제다. 주한미군 사병, 더 나아가 한미연합 사병의 규모가 논란의 본질이 아니다.
하지만 이 말을 꺼내는 순간 군 복무기간 단축의 당위성을 인정해주는 꼴이 된다. 방위력의 요체는 '첨단'이지 '사병 수'가 아니란 얘기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 결과는 사병 감축으로 군 장비와 기술을 첨단화하겠다는 노무현 대통령의 구상에 힘을 실어준다. 나아가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 이후의 로드맵을 마련해주기도 한다.
군 장비와 기술을 아무리 첨단화해도 그걸 운용할 병력이 없으면 무용지물 아니냐는 이견을 추가로 제시할 수 있지만 이마저 방어벽이 쳐졌다 정부는 일찌감치 '유급 지원병제'라는 카드를 꺼내들었다.
미국이 주시하고 있다
이제 다시 미국의 시선으로 돌아가자. "분열시키는 문제"는 이미 제기됐다. 아마도 오늘, 분열의 틈새는 더 벌어질 것이다. 미국은 이런 흐름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다른 건 몰라도 이건 분명하다. 부시 미 대통령은 전시 작전통제권은 정치문제가 아니라고 했다. 그런데 한국에선 대선 쟁점이 될 기미를 보인다. 노무현 대통령은 '형님 백'과 '자주'를 대립시키고, 전직 군 수뇌부는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재차 역설한다.
누가 세를 더 얻는지가 중요한 게 아니다. 논란의 양당사자가 주장하는 '자주'와 '용미'에 진정성이 있는지도 별개의 문제다. 미국에 대한 태도와 입장이 화두가 되는 것 자체가 문제다. 미국으로선 바라는 바가 아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