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이주노동자쉼터 개소 2주년 행사에서 만난 이주노동자들.용인이주노동자쉼터
저는 경기도 용인에서 이주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상담과 교육 등을 하는 '용인이주노동자쉼터'라는 단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겨울방학이 되면 "봉사활동하고 싶은데요"라고 말을 시작하는 전화가 사무실로 종종 걸려옵니다.
물론 봉사활동을 하고 싶다는 전화는 방학 기간이 아니어도 오긴 하지만, 방학이 되면 그런 전화들이 좀 더 늘고 질문 내용도 구체적입니다. 그런데 그런 전화의 공통점은 전화를 한 사람이 봉사활동을 하겠다는 학생이 아니라 그들의 부모라는 점입니다.
물론 학업에 바쁜 자녀를 위해 봉사활동을 할 기관을 찾는 부모의 심정을 이해하지 못하는 바는 아닙니다. 하지만 이미 몇 차례의 호된 시행착오를 겪었던 터라, 그렇게 문의하는 부모에게는 "마땅히 할 일이 없는데요"라고 말하고 전화를 끊습니다.
대부분 부모님들은 자녀가 평소부터 사회적 소수자인 이주노동자에 대한 깊은 애정과 관심을 갖고 진작부터 봉사활동을 하고 싶었는데 우연한 기회에 이주노동자쉼터를 알게 되서 봉사활동을 하도록 권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학생들도 무엇이든지 한 번 해보겠다며 의지를 밝히기도 합니다.
그런데도 이를 '호된 시행착오'라고 함은 그 활동이 단 한번으로 그친다는 겁니다.
학생 대신 부모가 봉사활동 문의?
@BRI@지금까지 우리 쉼터에 자기가 직접 작성한 봉사활동 확인서를 들고 와서 '도장만' 찍어 달라고 했던 학생들 대부분은 인근 신흔 명문고로 알려진 외국어고등학교 학생들이 가장 많았습니다(영어를 잘해서인지 아예 영문 편지를 써오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심지어는 대학생들도 있었습니다. "봉사활동을 하겠다고 찾아간 적은 있지만, 그냥 구경만 하다 왔으니 인턴 확인증이라도 끊어주면 안 될까요?"라며 사무국장에게 문의한 학생은 애교로 봐줄 수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그렇게 찾아왔던 학생들은 대부분 영어에 능통했습니다. 또 부모님들은 모 통신사 임원, 변호사 등 중산층 이상 되는 사람들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아마 외국인들을 상대하는 곳이니 최소한 영어 정도는 해야 할 거라는 생각을 했거나 외국 대학에 진학할 때 소수자단체에서 봉사 활동을 했던 경력이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판단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오늘(6일)은 남편이 미국 변호사 자격증을 갖고 있고, 고3 자녀를 데리고 봉사활동을 하고 싶어 한다며, 구체적으로는 노동 상담을 하고 싶다는 분의 전화를 받았습니다. 이 분은 작년에도 봉사활동을 하고 싶다는 전화를 하셨습니다. 그런데 약속한 일요일에 쉼터에 오지 않았습니다.
이 분은 서울에 산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처음부터 가까운 곳에 가서 봉사활동을 하시라고 권했는데 굳이 우리 쉼터로 오겠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오셔도 특별히 할 일이 없을 텐데, 정말 봉사활동할 의향이 있으시면 쉼터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지켜보시고, 할 수 있는 부분을 말씀하시면 일정 교육을 거친 후 자원 활동을 할 수 있게 권하겠다"며 다소 깐깐하게 안내를 했습니다.
일 년 전과 마찬가지로 오늘도 비슷한 질문과 대답이 이어졌습니다.
도장만 찍는 봉사활동, 사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