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러와의 국제 분쟁에 관해 백악관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는 부시 미 대통령과 외교안보팀.(자료사진)백악관 홈페이지
BDA문제 점진해결 가능성
둘째는 2005년 9·19 공동성명 체결 이후 최대 걸림돌이 되었던 방코델타아시아(BDA) 문제에 대해 북미 양측이 한발씩 양보하면서 문제 해결의 접점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그동안 북한은 금융제재를 미국의 적대정책의 상징으로 받아들이면서 9·19 공동성명 이행 협상의 선결조건으로 내세웠다. 이에 맞서 미국은 협상의 대상이 아니라고 못 박았다.
그러나 북한이 작년 12월과 올해 2월 6자회담 재개를 수용했다는 것은 금융제재 해제의 점진적인 해결 가능성에 주목하고 이를 수용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을 가능케 한다. 미국 역시 북한과 금융회담을 잇따라 갖고 있는데, 이는 북한의 태도 변화에 따라 금융제재의 점진적인 해제에 동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는 미국이 북한의 핵포기 조치에 맞춰 제공할 상응조치를 구체적으로 내놓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미국은 그동안 북한에게 '그림의 떡'을 보여주면서 선 핵폐기를 요구해왔다. 그러나 북한의 핵실험 및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의 참패, 그리고 이라크 사태 악화 등을 겪으면서 부시 행정부는 보다 구체적이고 대담한 제안을 내놓기 시작했다. 북한이 핵폐기 조치에 돌입하면 그 수준에 따라 경제 지원, 테러지원국 해제, 평화협정 서명, 북미관계 정상화 등 북한의 핵심적인 요구 사항을 들어줄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긍정적인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난관은 존재한다. 2월 1일에 종결된 BDA 실무회의가 합의없이 종결된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문제의 해결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한발 물러섰다고 하더라도 가시적인 성과 도출이 계속 지연된다면, 북한은 본격적인 핵포기 협상을 꺼려할 것이다.
또한 북한의 핵포기 대상과 수준, 그리고 절차와 검증은 정치적, 기술적으로 대단히 까다로운 사안이고, 미국의 상응조치 제공의 시점과 조건, 그리고 그 내용을 둘러싼 협상도 결코 쉬운 사안이 아니다. 무엇보다도 미국 내 강경파들의 농간을 배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