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사인 시인이 퍼주는 밥 한 그릇

[서평] 김사인 산문집 <따뜻한 밥 한 그릇>

등록 2007.03.06 17:36수정 2007.03.06 17:36
0
원고료로 응원
지난해 발간된 시집 가운데 내가 일곱 번이나 읽었던 시집이 있다. 김사인의 2시집 <가만히 좋아하는>(창비, 2006)이 그것이다. 동덕여자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인 김사인 시인이 19년 만엔가 펴낸 그 시집, 들고 다니면서 읽고 또 읽고 하여 시집 겉표지가 너덜너덜해진 것이지만 내가 아끼고 아끼는 시집이다. 그 시집 속의 시편들로 2005년 현대문학상과 지난 해 대산문학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김사인 시인이 지난 연말에 <따뜻한 밥 한 그릇>(큰나, 2006)이라는 산문집을 펴냈다. 그의 시집 제목인 '가만히 좋아하는'이나 산문집 제목 '따뜻한 밥 한 그릇'은 얼마나 따스하고 아름다운 언어인가.


제목만 봐도 그 시집과 산문집이 거느리고 있을 따스한 정서가 내게 건너올 것만 같다. 산문집 <따뜻한 밥 한 그릇>은 따뜻한 우리 주변의 이야기를 느릿하면서도 곡절 깊은 김사인 특유의 목소리를 소복이 담고 있다.

저자 김사인은 BBS FM-라디오 불교방송의 심야프로그램 <살며 생각하며>를 여러 해째 진행하고 있는데, 이 프로그램 모두에 청취자분들께 건넨 말씀 한 자락들을 묶어놓은 게 산문집의 내용들이다. 길이가 짧지만 그 이야기가 담고 있는 내용은 웅숭깊고 사람과 세상에 대한 사랑으로 가득 찬 것이다.

지난 주말에는 아주 오랫동안 적조했던 후배 몇 분과 함께 여의도 벚꽃길을 걷고, 또 내처 맛난 저녁까지 함께하는 호사를 누렸습니다. 벚꽃길을 걸어가면서 바람에 꽃잎이 화르르 날릴 때는 현실 속의 풍경 같지가 않았습니다. 뭐라고 말해볼 길 없게 마음은 아득해지고 현기증조차 느껴지는 길이었습니다.

그러면서 혼자 생각하기를, 이 꽃들과 볕들과 여린 풀빛들을 잘 맞이하고 잘 치러내는 일, 이거야말로 봄에 우리가 해야 할 가장 큰 공부가 아니겠는가 싶었습니다. 이 꽃들과 볕들과 저 연둣빛들 속에 들어서 '어디서 이런 분들이 이렇게 오시는가' 하고 그 경이로움과 황홀을 온몸으로 치르는 일, 온몸으로 봄을 맞아 '이 뭣고'를 실행하는 일, 그것이 천지간의 이치에 대한 산 공부이자 참 따뜻하고 유익한 공부가 아닐까요. 또한 공부이면서 놀이이기도 하고, 기쁨이다 못해 황홀한 그런 것이 아닐는지요.

우리가 과학이다 뭐다 말을 많이 하지만 진정한 과학 정신 또한 본래는 그런 마음과 그런 공부가 아니었을까요. 봄은 봄대로, 낙엽지는 가을과 추운 겨울 또한 그것대로 천지간의 섭리가 우리에게 드러내는 큰 공붓거리가 아닐 수 없습니다.


오늘은 학생들에게도 책으로만 하는 기능적인 공부에 아무리 머리를 싸맨다 해도 바로 그런 공부를 놓고는 온전하게 설 수 없고 깊어질 수 없다고 이야기를 했는데 과연 잘한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하루하루 한 시 한 시가 어찌 보면 다시 올 수 없는 벅찬 공부고 큰 기쁨이 아닐 수 없는데, 우선 제 자신부터도 너무 허술하게 그것들을 놓칠 때가 많습니다. - '벚꽃 속에서' 전문.


a 김사인 산문집-따뜻한 밥 한 그릇(큰나,2006)

김사인 산문집-따뜻한 밥 한 그릇(큰나,2006) ⓒ 큰나

독자 여러분, 어떻습니까? 참 좋은 말씀이지요. 이 말씀을 옮기다 나도 모르게 어투가 경어체로 옮겨졌습니다. 그렇습니다. 좋은 말씀 한 자락이 사람의 가슴 속에 닿아 사람의 마음을 바꾸고 행동을 바꾸기도 합니다.


벌써 매화꽃은 폈고 좀 있으면 벚꽃들이 가득 피어오르겠지요. 세상의 사물을 보면서 "천지간의 섭리가 우리에게 드러내는 큰 공붓거리를"를 만나는 일, 책 한 권을 읽으면서 그것을 깨닫는 일은 우리의 큰 안복(眼福)이 아닐 수 없습니다. 또 김사인 시인의 이런 말씀과 마음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흑백사진이 또한 그러합니다. 이 빼어난 흑백 사진은 국내외 많은 상을 수상한 원로 사진작가 신철균 선생의 작품입니다.

또 김사인 시인의 귀한 말씀 한 자락을 전해 올리겠습니다.

낮에 잠깐 짬이 나 도봉산 자락을 좀 걸을 수 있었습니다. 크고 작은 바위며 나무들이 흰 눈을 쓴 채로 마치 깊은 묵상에 든 듯이 보였습니다. 계곡 물도 제 꺼풀만 두꺼운 얼음으로 벗어놓고는 본래의 자신 속으로 깊이 돌아가 있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뭐라고 설명하기 어려운, 결코 함부로 할 수 없는 숙연함 같은 것이 겨울 산에는 있는 듯합니다. 겨울 산에는 여름의 끈끈한 치정(癡情)이나 봄가을이 허락하던 얼마간의 어리광스러운 감상, 이런 것이 없습니다. 저 불모의 혹한에 맞서서 바위도 초목도 짐승들도 죽음같이 깊은 잠으로 견디고 있는 듯합니다.

그때 겨울잠은 얼마나 높은 순도의 것일까요. 열반이라는 말의 의미의 한쪽은, 저런 잠의 깊이와 절실한 순수성으로 형상을 드러내는 것이 아닐까요. 저 겨울잠이야말로 존재의 가장 깊은 삼매가 아닐까요. 우리가 치르는 나날의 잠과 한 생애의 죽음이라는 것 또한 다를 바 없는 것이 아닐까요. 혹한과 죽음을 건너가는 섭리 같은 것이 겨울 산의 깊은 잠, 깊은 명상 속에는 있음을 보고 돌아왔습니다. - '겨울 산' 전문.


겨울 산을 산행하다가 "우리가 치르는 나날과 한 생애의 죽음"에 대한 큰 명상을 얻어내는 시인의 순도 높은 말씀이 큰 공부로 다가옵니다. 김사인의 산문집 <따뜻한 밥 한 그릇>은 시각장애우를 위한 CD북으로도 함께 제작되어 전국 장애우 시설에 무료로 보급된다 하니 얼마나 아름답고 따뜻한 일입니까.

김사인 시인의 그 특유의 고귀한 말씀이 전국의 힘든 장애우들게 작은 용기로 다가가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판매 수익금 2%를 '밥퍼나눔운동(다일공동체)'에 기부한다는 일도 참 소중하고 아름다운 일이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사람 인연도 크게 다를 바 없겠지요. 서로 길듦과 편해짐이 어느 만큼 깊어지고 길어지면, 어떤 형식이건 작별이 오는 것이겠지요. - '낡은 신발'부분.

우리가 고단한 삶을 살아가면서 자신도 모르게 자꾸 사나워지려고 할 때, 옛날 사진첩들을 꺼내 흑백사진 시절부터 다시 한 번 가만가만 넘겨보는 일도 한 처방이 되지 않을는지요.
- '옛 사진' 부분.

"사람마다 한 숟가락씩 열만 보태면 한 사람 몫의 밥 한 끼니가 된다는 것." 어찌 이렇게 훈훈한 산수(算數)가 있을까요. 모두를 두루 살리는 이처럼 슬기로운 산수가 또 있을까요. - '십시일반' 부분.

삼천 원짜리 슬리퍼 하나와 군밤 천 원어치를 주머니에 넣고 남대문 시장에서 돌아오며, 문득 산다는 건 참 엄숙한 것이라는 생각들이 묵직하게 가슴에 와 닿았습니다. - '남대문시장' 부분.

"산색이 초승달 같다"는 말과, "따뜻한 바람은 향기로운 술과 같다"는 비유입니다. 솜털 오르는 것 같은 봄의 산색을 초승달 같다고 볼 수 있는 감각과 따뜻한 봄바람을 기품 있고 향기로운 술과 같다고 본 감각이 무릎을 칠 만큼 섬세합니다. - '풀과 나무' 부분.


지면의 여유가 없어 길게, 여럿을 인용하지 못하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김사인 시인의 첫 산문집 <따뜻한 밥 한 그릇>은 앞만 향해 정신없이 달려온 우리들에게 발걸음을 멈추고 주위를 둘러보는 여유를 주는, 삶의 향기를 전해주는 책입니다. 현대인의 피곤에 지친 삶에 말 그대로 '따뜻한 밥 한 그릇'입니다. 여러분과 그 밥 같이 나누고 싶습니다.

덧붙이는 글 | 경북매일신문 '이종암의 책 이야기'에도 송고합니다.

글-김사인 
시인 김사인은 1955년 충북 보은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했으며, 1982년부터 시와 문학평론을 발표하였다. 시집 <밤에 쓰는 편지> <가만히 좋아하는>과 <박상륭 깊이읽기> 등 몇 권의편저서를 냈으며, 신동엽창작기금과 현대문학상, 대산문학상을 받은 바 있다. 동덕여자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BBS FM-라디오 불교방송의 심야 프로그램 <살며 생각하며>를 여러 해째 진행하고 있다. 

사진-신철균 
사진작가 신철균은 1929년에 태어나 1950년대 말부터 사진에 입문했다. 제17회 대한민국미술대전(국전) 입선, 전라북도 미술대전 특선 수회, 아시아 유네스코 사진전 대상(1978) 등을 수상한 원로 작가이다. 서민들의 일상에 나타난 진솔한 삶의 표정과 어린이의 천진스런 모습을 흑백으로 표현하는 작품을 내고 있다. 항구도시 군산에 머물며 창작생활을 하고 있다.

덧붙이는 글 경북매일신문 '이종암의 책 이야기'에도 송고합니다.

글-김사인 
시인 김사인은 1955년 충북 보은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했으며, 1982년부터 시와 문학평론을 발표하였다. 시집 <밤에 쓰는 편지> <가만히 좋아하는>과 <박상륭 깊이읽기> 등 몇 권의편저서를 냈으며, 신동엽창작기금과 현대문학상, 대산문학상을 받은 바 있다. 동덕여자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BBS FM-라디오 불교방송의 심야 프로그램 <살며 생각하며>를 여러 해째 진행하고 있다. 

사진-신철균 
사진작가 신철균은 1929년에 태어나 1950년대 말부터 사진에 입문했다. 제17회 대한민국미술대전(국전) 입선, 전라북도 미술대전 특선 수회, 아시아 유네스코 사진전 대상(1978) 등을 수상한 원로 작가이다. 서민들의 일상에 나타난 진솔한 삶의 표정과 어린이의 천진스런 모습을 흑백으로 표현하는 작품을 내고 있다. 항구도시 군산에 머물며 창작생활을 하고 있다.

따뜻한 밥 한 그릇

김사인 지음, 신철균 사진,
큰나(시와시학사), 2006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부영, 통 큰 기부로 이미지 마케팅... 뒤에선 서민 등쳐먹나" "부영, 통 큰 기부로 이미지 마케팅... 뒤에선 서민 등쳐먹나"
  2. 2 "아버지 금목걸이 실수로 버렸는데..." 청소업체 직원들이 한 일 "아버지 금목걸이 실수로 버렸는데..." 청소업체 직원들이 한 일
  3. 3 깜짝 등장한 김성태 측근, '대북송금' 위증 논란 깜짝 등장한 김성태 측근, '대북송금' 위증 논란
  4. 4 오빠가 죽었다니... 장례 치를 돈조차 없던 여동생의 선택 오빠가 죽었다니... 장례 치를 돈조차 없던 여동생의 선택
  5. 5 '바지락·굴' 하면 여기였는데... "엄청 많았어유, 천지였쥬" '바지락·굴' 하면 여기였는데... "엄청 많았어유, 천지였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