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공동주최자인 장향숙 열린우리당 의원(왼쪽)과 정화원 한나라당 의원.국은정
나사렛대학교와 함께 이번 행사를 주최한 정화원 의원은 “그나마 이번에 장애인차별금지법을 통과시킨 것을 참으로 다행스럽게 여긴다, 이것은 노무현 대통령의 공약 때문에 가능했다, 장애인 운동이 많이 달라지고 있지만 더 단결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장애인 스스로 반성하고 변화해야 한다”며 “그야말로 ‘병신육갑’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향숙 의원도 한국의 복지현실을 개탄했다. 또한 장애인 중에서도 더 소외된 장애인이 존재한다는 것을 이번 기회를 통해 절감하게 됐다며 “이번 세미나가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인프라 구축의 시초가 되고 좋은 배움의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하지만 첫술에 배부를 자가 누가 있을까? 발제자로 나온 10여명의 관련 학자들 중에는 시청각장애인이라는 개념조차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누군가 쓰다 버린 논문을 그대로 짜깁기한 것 같은 참으로 어설픈 연구실적을 발표한 이들도 적지 않았다.
학자에게 학문을 최대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탐구해야 하는 의무가 있는 건 분명하지만 시청각장애인에 대한 깊은 애정 없이는 학문 역시 ‘죽은 자의 외침’과 다를 바 없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 아직은 출발 단계이기 때문에 겪는 시행착오이길 간절히 바라는 마음뿐이다.
물론 그중에는 시청각장애인들과 지속적으로 교류해 그들에게 정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제시해준 발제자도 있었다. 진정한 학자의 면모를 발견하는 순간이었다. 다른 학문도 아니고 복지 관련 학문이기에 시청각장애인들을 위한 애정과 관심은 당연히 연구 과정에 포함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세미나에서 나온 긍정적인 제언을 정리해 보면 이렇다. 무엇보다 시청각장애인 실태조사가 우선돼야 한다. 중복장애인에 대한 사회의 무지와 무관심이 여전히 이 땅에 존재할 수많은 시청각장애인들을 세상으로 불러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또한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독자적인 단체가 필요하다. 권익을 옹호할 수 있는 당사자 중심의 협회 추진도 필요하다는 논의도 이뤄졌다.
마지막으로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특성화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지도자를 양성하고, 그들의 장애 특성에 맞춰 교육을 전담할 수 있는 교육기관 설립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국 시청각장애인의 교육이나 취업은 정부와 사회의 무관심 속에 방치돼 온 것이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