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등에 도서관에 자주 가고 싶은데, 솔직히 차를 타고 가야 할 정도로 멀다. 주변에 도서관이 많았으면 좋겠다.장희용
중앙정부나 각 지자체마다 '발전, 발전' 하면서 '역점 사업', '중점 사업', '주요 사업', '핵심 과제' 등 비슷비슷한 말들을 쏟아낸다. 하지만 어떤 때는 이런 것들이 과연 내 삶에, 주민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 생각해 보면서, 그 많은 정책들의 이면에는 성과와 치적에만 몰입해 나온 그들만을 위한 발전 정책들이 아니었나, 또한 그 발전정책의 수혜자는 결국 일부에 지나지 않나 하는 비판적인 시각을 갖게 된다.
다른 견해로 보면 결국 그 '발전'이라는 것의 속도만큼 나는 더욱더 저 멀리 그 발전의 혜택으로부터 멀어지고 있다는 느낌도 지워버릴 수 없다. 그래서 내가 생각하는 진정한 발전이란 이 같은 발전 모델이 아니라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당장 눈에 보이는 성과위주의 정책보다는 지속 가능한 정책이야말로 진정한 발전정책이라고 본다.
그 작은 하나로 주변에 아이들과 함께 손잡고 쉽게 갈 수 있는 작은 도서관이 있었으면 좋겠다. 물로 도서관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도서관 한 번 가려면 반드시 차를 타고 가야 한다. 일부러 작심하고 가지 않으면 책을 읽으러 도서관에 갈 수 있는 상황이 못 된다. 그나마 2개밖에 없다. 그래서 이런 멀리 있는 도서관이 아니라 최소한 걸어서 20분 정도 거리에 있는 작은 도서관이 많이 있었으면 참 좋겠다.
참여정부가 '민주복지국가'를 표방하며 내놓은 '비전2030'을 보면 2010년까지 인구 5만명당 1도서관, 2030년까지 인구 4만명당 1도서관이라는 청사진이 있다. 이에 발맞추어 각 지자체도 도서관을 확충하는 데 나름대로 계획과 시행을 하고는 있다. 하지만 여기서 내가 생각하는 문제는 바로, 이 도서관을 꼭 규모 있는 큰 도서관으로만 지으려 한다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도서관 하나 짓는데 많은 예산이 들어가고, 그에 따라 다음 도서관을 계속 짓기가 어려워지는 현실에 부닥치게 됨으로써 그만큼 도서관 증축은 더디게 진행될 수밖에 없다. 또한 그 같은 도서관이 지어진다 해도 도서관 인근 주민들만 이용할 수 있을 뿐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들은 솔직히 이용하기 힘들다. 도서관의 의미가 사라진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