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담이 열리고 있는 서울 그랜드힐튼 호텔 3층 다이아몬드홀에 프레스센터에 중앙일보 기자의 노트북이 놓여져 있다.인터넷사진공동취재단 권우성
이것이 유아독존인지 아니면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는 것'인지 각자 판단에 따라 다를 것이다. 그런데 눈에 띄는 것은 유독 남북관계에서만은 청와대는 이렇게 묘사할 만한 행동을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지난해 10월9일 북한이 핵실험을 하자 노 대통령은 포용정책을 포기하겠다면서 그 이유로 '국제사회의 분위기'를 들었다. 그는 "이제 한국이 소위 제재와 압력이라고 하는 국제사회의 강경수단 주장에 대해 대화만을 계속하자라고 강조할 수 있는 입지가 상당히 없어진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대중 전 대통령이 "햇볕정책 실패'는 해괴한 이론"이라고 강력하게 반발하면서 '무소의 뿔'을 휘두르자 노 대통령은 슬그머니 태도를 바꿨다.
이번에 문제가 된 대북 쌀 지원과 2·13 합의 연계만 해도 문제가 많다.
정부는 여러 번 대북 쌀 지원은 인도적 사안이라고 설명해왔다. 인도적 사안을 정치적 문제와 연결시키는 것 자체가 스스로의 말을 뒤집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해 7월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했을 때 쌀 지원을 끊으면서 북핵 문제의 국제적 출구가 열리면 지원을 다시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여기서 국제적 출구는 6자회담 재개였다.
그런데 지난해 12월 6자회담이 재개되었는데도 정부는 눈치만 살피며 차일피일 쌀 지원을 미뤘다. 지난달 4월 13차 남북경제협력추진위 회의 때 남한은 5월 말 첫 번째 배가 출항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 약속은 지켜지지 못했다.
정부는 그동안 북한에 대해 합의 사항의 이행을 촉구해왔는데 스스로 모순된 행동을 했다. 이재정 장관은 취임 뒤 남북대화의 제도화·정례화를 중점 목표로 삼았다. 그러나 불과 몇 개월 만에 큰 난관에 부닥쳤다.
현재 2·13 합의의 진행을 가로막고 있는 것은 방코델타아시아(BDA) 은행 문제다. 그런데 BDA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는 이유에 대해 정부 입장도 "북한에게만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것이다.
미국은 BDA를 제재해놓고 지금은 애국법에 따라 제재를 풀지 못해 고민에 빠졌다. 중국도 중국은행을 통해 동결된 북한 자금을 중개할 수 있는데 뒤로 빼고 있다.
북한 뿐 아니라 미국과 중국까지 책임을 면할 수 없는 BDA 문제, 그리고 이 때문에 지연되고 있는 2·13 합의 이행과 쌀 지원을 연계시킨 것은 논리적 정합성도 없다.
북한에 통미봉남의 유혹 느끼게 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