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키스트 백정기 의사 애국혼 되살려

5일 순국 제73주기 추모제 열려

등록 2007.06.07 13:37수정 2007.06.07 13:41
0
원고료로 응원
a 정읍시 영원면에 위치한 백정기 의사 기념관

정읍시 영원면에 위치한 백정기 의사 기념관 ⓒ 정읍시민신문


항일애국투사 백정기 의사 추모제가 지난 5일 열렸다. (사)구파백정기의사기념사업회와 정읍시 주관으로 구파백정기의사기념관 의열사 광장에서 열린 이날 행사에는 강광 시장을 비롯한 각급 기관단체장과 유족 및 지역민 등이 대거 참석해 순국 제73주기를 맞는 백 의사의 숭고한 애국혼과 정신을 기렸다.

이날 행사는 헌화 및 분향 등 기념식을 비롯해 전시관 및 홍보영상물 관람과 함께 어린이 백일장 및 사생대회도 함께 진행됐다. 백 의사는 1933년 중국 상해에서 일본 주중공사 아리요시아끼의 암살을 시도하다가 체포돼 1934년 6월 5일 일본 나가시키현 이사하야 형무소에서 순국한 항일애국투사. 1896년 1월 19일 부안읍 신운리에서 출생, 소년시절 현 영원면 은선리로 이주했다.

백 의사는 1914년 일본경찰 폭행을 시작으로 항일애국활동에 나서 1919년 3.1운동을 계기로 직접행동을 결의하고, 동지를 모아 자금 모금 등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1921년 일본에서 아나키스트(무정부주의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독립운동노선을 택한 뒤 1924년 중국에서 결성된 ‘재중국조성무정부주의 연명’에 참여하고, 1928년 ‘동방무정부주의자연맹’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또 1930년 ‘한족총연합회’의 일원이 되는 등 아나키스트로서의 활동도 전개했다. 백 의사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1931년에는 ‘항일구국연맹’산하 비밀결사단체인 ‘흑색공포단’의 행동책임자로서 막중한 소임을 다하고 일본 군수물자수송선과 천진 일본영사관에 폭탄을 투척하는 등 대일 결사항전에 돌입하게 된다.

특히 1933년 일본공사 아리요시아끼가 일본군 수뇌와 중국 친일 고관들을 모아 육삼정(六三亭)이라는 요리집에서 주연을 연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이를 타도하고 암살하고자 했던 ‘육삼정 의거’를 도모했다. 이는 비록 실패했지만 백의사의 살신성인적인 희생으로 중국내의 항일세력이 연합전선을 구축하는 등 동아시아 판도내의 국제관계 변화를 가져오게 한 역사적 사건으로 평가되고 있다.

육삼정 의거의 실패로 일제에 붙잡힌 백 의사는 1933년 일본 나가사키재판소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복역하던 중 오랜 지병으로 인해 39살의 생을 마감하게 된다. 이후 조국광복 후 1946년 삼의사(윤봉길, 이봉창, 백정기)의 유골이 봉환되고 국민장을 거쳐 서울 효창공원에 안장됐고 1963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독립장에 추서됐다.

한편 정읍시에서는 이같은 백 의사의 구국정신을 기리기 위해 1996년 (사)구파백정기의사기념사업회를 결성, 백정기의사기념관을 비롯한 백정기의사유적지 조성사업을 시작, 2004년 6월 5일 기념관을 개관하고, 현충시설로 지정했다.

이곳에서는 매년 6월 5일에는 추모제를, 그리고 8월 15일에는 광복절행사가 개최되고 시민을 대상으로 사회문화예술교육 등이 진행되고 있으며 앞으로 청소년을 대상의 ‘신독립운동’ 역사캠프도 가질 예정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전북 정읍지역신문 '정읍시민신문'에 실렸습니다.

덧붙이는 글 이 글은 전북 정읍지역신문 '정읍시민신문'에 실렸습니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하루가 지옥" 주차장에 갇힌 주택 2채, 아직도 '우째 이런일이' "하루가 지옥" 주차장에 갇힌 주택 2채, 아직도 '우째 이런일이'
  2. 2 억대 연봉이지만 번아웃 "죽을 것 같았다"... 그가 선택한 길 억대 연봉이지만 번아웃 "죽을 것 같았다"... 그가 선택한 길
  3. 3 체코 대통령, 윤 대통령 앞에서 "최종계약서 체결 전엔 확실한 게 없다" 체코 대통령, 윤 대통령 앞에서 "최종계약서 체결 전엔 확실한 게 없다"
  4. 4 알고도 대책 없는 윤 정부... 한국에 유례 없는 위기 온다 알고도 대책 없는 윤 정부... 한국에 유례 없는 위기 온다
  5. 5 28년 만에 김장 독립 선언, 시어머니 반응은? 28년 만에 김장 독립 선언, 시어머니 반응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