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당 152석→73석, 3년만에 반토막

정대철·문희상 등 17명 탈당... 사실상 당 해체 수순

등록 2007.06.15 11:51수정 2007.06.15 14:19
0
원고료로 응원
a

문희상 전 의장과 정대철 상임고문, 문학진, 김덕규 의원 등 열린우리당 초·재선 의원 17명은 1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범여권 대통합에 합류하기 위한 탈당을 공식 선언했다. ⓒ 오마이뉴스 남소연



열린우리당 정대철 고문과 문희상 전 의장, 문학진 의원 등 17명이 15일, 집단탈당했다. 김한길·강봉균 의원 등 23명(2월 7일), 임종석·우상호 의원 등 16명(6월 8일)에 이어 세번째 집단탈당이다.

열린우리당은 2004년 4월 17대 총선 당시 전체의석(299석)의 과반수인 152석을 점했으나, 이날까지 탈당으로 전체 의석수가 73석까지 줄었다. 사실상 당 해체 수순으로 접어든 셈이다.

또한 대통합을 위해 '제3지대'로 나온 열린우리당 탈당의원 수는 초·재선 16명을 비롯해 민생정치모임, 이강래·전병헌 그룹, 김근태·김희선 의원 등을 합쳐 모두 44명으로 늘어났다.

정대철 고문 등 17명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안타깝게도 2·14 전당대회의 결의를 통해 지도부에 대통합 추진권한을 준 4개월의 시한이 어제로 종료됐다"며 "이제는 더 이상 주저할 시간도, 망설일 시간도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특히 "평화민주개혁세력의 대동단결을 위해 대통합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누군가 정치적 결단을 해야 한다는 판단하에 광야에 나가 대통합의 불씨를 다시 지피겠다"면서 "사심 없이 대통합의 용광로에 저희들의 몸을 던지겠다"고 탈당을 선언했다.

이들은 또 ▲대통합 협의체의 조속한 구성 ▲대선후보 연석회의 ▲완전한 의미의 국민경선 등을 제안했다.

이날 탈당에는 정대철 고문과 문희상·김덕규·이미경·이석현·강성종·김우남·문학진·박기춘·신학·심재덕·이기우·이영호·이원영·정봉주·최성·한광원 등 의원 16명이 참여했다.


정동영 등 18~20일 사이 추가 탈당... 충청·전북은 당 지도부와 함께

이들은 이날 탈당 선언 직후 초재선 의원 등으로 구성된 대통합 탈당파 모임과 만나 합류 방안 등을 논의했다. 또한 민주당과 중도개혁통합신당을 상대로도 통합 협상을 추진할 예정이다.

정봉주 의원은 이날 기자와 만나 "김낙순 의원 등 중도개혁통합신당 소속 의원들이 민주당과 합당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소통합'이 아닌 '대통합'으로 가기 위해 밖에서의 지원을 기대하고 있다"며 "이들과 적극적으로 만나 통합 논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a

문희상 전 의장과 정대철 상임고문, 문학진, 김덕규 의원 등 열린우리당 초·재선 의원 17명은 1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범여권 대통합에 합류하기 위한 탈당을 공식 선언했다. ⓒ 오마이뉴스 남소연

한편 이날 탈당규모는 당초 20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당 지도부가 '질서 있는 통합'을 내세우며 적극적으로 만류, 현재 당직을 맡고 있는 일부 의원들이 탈당의사를 철회하면서 규모가 다소 줄었다.

또 이날 탈당그룹 중 정대철 고문을 비롯해 문학진 의원 등은 전날(14일) 당 지도부가 밝힌 '7월 임시 전당대회를 통한 대통합 추진'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히며 탈당한 반면, 문희상 전 의장 등 일부 의원들은 당 지도부와의 물밑 교감을 통해 탈당에 합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들의 탈당 대열에 통참할 것으로 알려졌던 정동영 전 의장은 오는 18일이나 20일경 일부 의원들과 함께 추가 탈당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그러나 충청권 의원 11명은 전날(14일) 박병석 의원 주재로 오찬회동을 갖고 탈당을 보류한 채 당 지도부의 대통합 추진노력을 지켜보기로 뜻을 모았다. 전북지역 의원들도 당 지도부와 행동을 함께 한다는 방침이다.

당 지도부는 사실상 이들의 탈당을 용인하는 분위기다. 서혜석 대변인은 이날 탈당하는 의원들에 대해 "가능한 대통합을 향해 질서 있게 함께 가는 모습을 보였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면서도 "탈당한 분들이 대통합의 밀알로서 그 역할을 다해줄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앞서 14일 열린우리당 지도부·국회의원·당원협의회장 등이 참석한 통합추진 연석회의에서는 내달 중 당 해체 등을 논의하게 될 임시 전당대회를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이날 시한이 종료된 현 지도부의 비상대권을 한 달 더 연장하기 위해 '응급처방'을 내린 셈이다. 그러나 사실상 이날 결의로 열린우리당은 '당 해체' 수순에 접어들었다.

반면 친노 진영은 당 사수를 고수할 가능성이 높다. 노무현 대통령이 "열린우리당은 대통합이 안되면 그대로 가야한다"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데다, 당 지도부의 대통합 논의가 참여정부의 정체성을 부정하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정대철 #문희상 #집단탈당 #의석수 #대통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사실 너머의 진실을 보겠습니다. <오마이뉴스> 선임기자(지방자치팀)

AD

AD

AD

인기기사

  1. 1 이렇게 어렵게 출제할 거면 영어 절대평가 왜 하나
  2. 2 동네 뒷산 올랐다가 "심봤다" 외친 사연
  3. 3 궁지 몰린 윤 대통령, 개인 위해 국민을 위험에 빠뜨리나
  4. 4 '파묘' 최민식 말이 현실로... 백두대간이 위험하다
  5. 5 [단독] '키맨' 임기훈 포착, 채상병 잠든 현충원서 'VIP 격노' 물었더니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