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2005년 10월 국회 본회의장에서 민주노동당 강기갑·권영길·천영세 의원이 심각한 표정으로 컴퓨터 화면을 바라보고 있다.
[아래] 2005년 9월 1일 오후 정기국회 개회식이 끝난 뒤 열린우리당 의원들이 본회의장에 새로 설치된 컴퓨터 사용법을 배우자, 이인영 의원이 "제가 선배님들의 컴맹탈출을 찍어드리겠습니다"며 폰카로 사진을 찍고 있다.오마이뉴스 이종호
나는 시를 쓰고 있었다. 요새도 연필을 깎아 종이 위에 싸륵싸륵 시를 쓰는 시인들도 있다지만 나는 아니었다. 그러니 시를 쓰고 있었다기보다는 자판을 두드리고 있었다고 해야 옳겠지만 그 정도로 나의 정체성에 대해서 까탈을 부릴 마음은 없다.
문제는 그 다음이었다. 전원이 나갔는지 갑자기 화면이 검게 지워져버렸고, 뒤이어 내 머릿속까지 암전상태가 되고 말았다. 다행히도 불과 서너 줄을 쓰다 말았으니 사라져버린 시구들을 기억해내기 위해 안달할 필요는 없었다.
다만, 오랫동안 손맛을 보지 못하다가 입질을 해온 터라 느닷없는 정전사태가 못내 아쉬울 뿐이었다. 나는 전원이 다시 들어오기만을 기다리다가 문득, 컴퓨터가 아닌 종이에도 시를 쓸 수 있다는 사실을 뒤늦게야 깨달았다.
생각할수록 어처구니없는 일이었다. 자판을 두드려 시를 쓰기 시작한 칠팔 년 안팎의 세월을 제외하고는 까까머리 중학생시절부터 무려 삼사십년 동안을 아날로그 방식으로 시를 써왔으면서도 그 사실을 까마득히 잊어버리고 있었다니!
더 충격적인 일은 컴퓨터 앞에서는 제법 잘 풀리던 시상이 정작 종이 앞에서는 맥을 못추고 시들해지고 만 것이었다. 결국은 단 한 줄의 시구도 건지지 못한 채 시간만 허비하다가 전원이 들어온 뒤에야 배시시 시상이 풀리기 시작했다.
이런 치명적인 고백을 하고서도 글을 써야하는지 말아야하는지 잘 모르겠다. 어쨌거나 내가 순수한 아날로그 시인이 아니라는 사실만은 분명해진 것 같다.
그렇다면 나는 디지털 시인인가? 그럴 수도 있다. 나는 하루에도 몇 번씩 내가 소속한 문학카페에 접속하여 회원들이 올린 작품을 읽고 댓글을 달기도 한다. 나 또한 그곳에 시나 글을 올리며 가상공간에서의 문학적 소통을 즐기고 있다.
어디 그뿐인가. 내가 가르치는 학교 아이들과 주고받는 문자나 메일의 양도 만만치가 않다. 여학생 담임을 맡았던 재작년인가는 저녁을 들기가 무섭게 컴퓨터 앞에 앉아 반 아이들과 메일을 주고받으며 수다를 떨거나 인생 상담을 해주는 일에 꽤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도 했었다. 생일을 맞은 아이들에게 생일 축하시를 써주는 대신 적어도 다섯 차례 이상은 담임인 나와 메일을 주고받아야 한다는 규칙 같은 것을 정해놓았던 것이다.
꽃 편지지에 잉크로 쓴 편지, 우체통에 넣으면 '털썩' 소리가
사정이 이런데도 나 자신을 아날로그형 인간이라고 우기고 싶은 이유가 뭘까? 그것은 혹시 사라져버린 것들에 대한 어떤 향수나 그리움 때문이 아닐까? 내공이 약한 별수 없는 위인이다 보니 현대문명의 이기에 어쩔 수 없이 기대어 산다고 해도 옛것을 반추하고 그리워하는 마음마저 못쓰게 된 것은 아니라는 얘기다.
하나. 편지에 대한 향수만 해도 그렇다. 컴퓨터가 대중화되기 전까지만 해도 사랑하는 이에게 편지 한 통 보내는 것이 얼마나 가슴 조이는 일이었던가.
문방구에 갓 사온 꽃 편지지에 파란 모나미 잉크로 정성스레 편지를 쓰고, 잉크가 마르기를 기다려 수신인의 주소와 이름이 적힌 편지 봉투에 넣고, 우표를 붙이고 풀로 봉투를 봉한 뒤에 동네 어귀까지 걸어가 빨간 우체통에 편지를 집어넣으면 우체통 바닥으로 편지가 '털썩'하고 떨어지는 소리가 들리곤 했었다.
요즘이야 하루에도 몇 번씩 문자나 이메일을 주고받을 수 있지만 당시에는 편지를 보내놓고 적어도 사나흘은 지나서야 답장을 받을 수 있었다. 그 애틋한 기다림의 시간들로 인해 사랑은 또 얼마나 깊어졌던가. 긴 겨울이 지나고서야 새 봄이 오듯이 그 긴 기다림의 시간들을 어렵사리 통과하면서 우리는 성급하지 않는 자연의 성품을 닮아 갈 수 있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그 시절 음악에 대한 목마름은 또 어땠는가. 요즘은 '엠피쓰리'라 불리는 손가락만한 크기에 복제능력이 탁월한 마술 같은 기계가 등장하여 자기가 원하는 노래를 무한정 들을 수 있게 되었지만, 내가 고등학교를 다닐 때만 해도 라디오 음악프로그램을 통해서나 듣고 싶은 노래를 겨우 접할 수가 있었다.
그래도 졸음을 참아가며 기다린 덕분에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신청곡을 사연과 함께 듣고 있노라면 얼마나 마음이 달뜨고 행복했던가. 그 가난했던 시절, 빈곤 속의 풍요를 음악의 홍수시대에 살고 있는 요즘 아이들이 알기나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