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4년 10월 외교통상부가 펴낸 '용산기지 이전협정 해설' 자료집의 일부. "한국측의 막대한 비용부담 불가피"라는 비판에 대해 "미측이 치유비용 부담키로 합의"가 '진실'이라고 명시했다.(우측 하단 동그라미 친 부분)
2004년에 이미 시민단체들 경고
이날 청문회에서 의원들은 "졸속 협상 아니냐", "책임을 지고 사과해야 한다"고 질문했으나 김장수 국방부 장관은 "졸속 아니다, 소파 협정에 따라 최선을 다했다"는 말만 되풀이 했다. 그는 끝내 사과하지 않았다.
한미동맹을 위해 미군이 남긴 쓰레기를 그냥 떠앉겠다는 김 장관의 발언에 대해 일부 네티즌들은 "저런 사람이 국방부 장관이냐"고 힐난했다.
그러나 김 장관만이 책임있는 것은 아니다. 미군기지 환경오염 문제는 2004년 7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재임했던 윤광웅 국방부 장관도 책임이 더 크면 컸지 적지 않다. 그래서 그도 이날 청문회장에 불려 나왔다.
물론 최종 책임은 미국이 요구하는대로 다 해주면서 '자주'를 입에 달고사는 청와대다. 수천억원의 혈세가 들어가는 사항을 대통령 허락없이 국방부 장관 멋대로 결정할 수는 없다.
김 장관은 답변 도중 "대통령께서도 언론이나 네티즌들과의 대화에서 50여년전에 한국을 위해서 온 미군들에게 지금의 환경 잣대를 들이대는 것은 무리라고 말씀하셨다"고 설명했다.
환경치유 비용 1197억원은 현재까지 반환된 23개 기지에 대한 것이다. 총 66개 기지를 반환받는데 정부는 총 치유 비용을 4000억원 선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날 청문회에 증인으로 나온 이진용 강원대 교수는 "23개 기지의 오염수준으로 봤을 때 토양 오염 치유에만 2000억원, 지하수 오염 치유에 4000억원 등 총 6000억원이 들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정부 추정치의 5배다.
66개 미군 기지의 총 치유 비용은 2조원대에 이를 것이라는 예상도 있다.
민주노동당 단병호 의원은 "미군이 반환할 기지 총 면적은 5167만평인데 이미 반환된 23개 기지 면적은 220여만평에 불과하다, 24개 기지의 오염 치유비용은 1㎥당 16만9000원"이라며 "이 기준을 적용한다면 전체 미군기지 오염 치유 비용은 15조원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