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숙 이화여대 교수김철관
특히 "이제 언론자유는 정치권력으로부터 자유가 아니라 금권(돈)으로부터 자유가 대단히 중요하다"며 "언론 사주가 금권화돼 있는 사회에서 언론사주로부터 자유가 진정한 의미에서 언론의 자유"라고 강조했다.
그는 "대통령은 소비자운동을 통해 언론의 품질을 높이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 "대통령의 언론관은 시장 메커니즘을 통한 언론의 권력화, 특권화의 견제와 이를 통한 언론의 품질제고에 있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알리바이론을 제기한 최장집 고려대 교수의 주장은 사실과 진실을 허상과 거짓으로 만들 수 있다는데 우려하고 있다"면서 "어떻게 권위주의 정권을 연구한 프레임을 참여정부에 적용할 수 있냐"고 반박했다.
이어 "만약 최 교수가 조선일보 사상검증에 굴복하지 않고 끝까지 소송으로 맞섰다면, 그리고 반노 포퓰리즘에 편승하지 않고 노무현 정부의 공과를 공정하게 평가했다면 최 교수는 더 이상 존경받는 학자로 기록되지 않았을 것"이라며 "정권에 아부하는 폴리페서가 돼 전형적인 곡학아세 지식인으로 매도됐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참여정부는 언론과 결탁을 하지 않고 독자적인 홍보를 펼쳐야 했던 거의 최초의 정부라 말할 수 있다"면서 "기자실제도 폐지 및 브리핑제도 도입, 가판제도 폐지를 없앰으로서 기자와 뒷거래를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도록 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노 대통령의 노력이 정당하게 평가받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비주류적인 대통령의 스타일에 있다고 본다"면서 "그 만큼 우리사회가 선진화되다보니 촌스럽고 비주류적인 화술이나 스타일이 본질을 압도한 현상이 나타난 것"이라고 밝혔다.
조 교수는 "역사의식을 가지고 참여정부가 처한 현실을 명확히 진단한다면 진보언론이 진보에 대한 신념이 부족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면서 "수구언론의 왜곡, 오보를 통한 인권침해에 대해 진보언론은 진실을 규명하려는 노력을 전혀 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진보상업주의 언론, 반정부 언론은 있어도 진보언론은 없다"면서 "진보정부인 노무현 정부가 어려움에 처한 가장 큰 이유"라고 밝혔다.
그는 "정부보다 언론의 신뢰도가 높으면 정부 공격 때문에 제대로 정책을 할 수 없다"면서 "정부의 신뢰도가 언론의 신뢰도보다 높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발제를 한 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대통령과 언론의 관계는 미묘하고 어려운 관계"라며 "참여정부가 설정한 '언론과의 건전한 긴장관계'라는 것은 현실의 모순과 위선과 미덕이 존재하는 긴장 관계라는 딜레마로 와 닿았다"고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