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편지> 기다림의 즐거움

황병기의 '낙도음(樂道吟)'

등록 2007.07.13 13:15수정 2007.07.13 13:15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a

ⓒ 이종민

내 고장 유월은
청매실 익어가는 시절
이 마음 절절한 소망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고
먼 데 바람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


해마다 유월이 오면 이런 바람과 소망을 추수하는 작은 축제가 벌어지곤 합니다. 이 잔치를 위해 그 긴 겨울과 그 화사한 봄을 마냥 흘려보낸 것처럼 그 기다림은 절실하기만 했습니다. 기다릴 거리가 많은 삶이 아름답고 풍요로운 것이라면 매실은 정녕, 적어도 저에게는, 그러한 것들을 제공해주는 깊은 샘물과 같은 것입니다.

매실나무 몇 그루 된다고 이런 흰소리? 의아해하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제 친애하는 형제 벗들과 더불어 한동안 부산하게 즐기기에는 충분한 양인 것만은 틀림없는 사실입니다. 노랗게 익어 땅에 떨어져 뒹굴고 있는 매실이 죄스러울 정도로 많은 것만 보아도 즐길 수 있는 이상의 양이었다는 것은 쉬 짐작할 수 있는 일입니다. 게다가 매년 그 수확량이 늘어나고 있으니…. 별스런 걱정으로 가슴이 멍하니 뿌듯하기만 합니다.

올 총 수확량 450kg. 매실즙 용으로 90kg, 매실주로 50kg, 매실 장아찌용으로 20kg. 나머지는 친지 벗님네들과 나누어 가졌습니다. 물론 손수 품을 내어 화양모재 매실 밭에서 땀을 흘린 분들에게만 해당되는 얘기입니다.

또다시 매실즙이 울어나고 술과 장아찌가 익어가기를 기다려야겠지요. 한참 땀 흘리고 헉헉 숨 고르기를 하다 보면 9월. 그때에 이르면 또 다른 수확의 기쁨을 나눌 수 있습니다. 매실즙 걸러 친애하는 친지 벗님들과 나누어 갖는 즐거움이라니! 알맞게 익은 술 걸러 화양모재 아담한 뜰에서 가을날 작은 음악회 마련하는 것은 또 어떻고요.

그러고 나면 다시 매실 수확할 때까지 그 긴 세월을 허송, 기다려야 하나? 천만의 말씀! 매실즙 거르고 그 매실에 다시 소주 부어야지요. 그것 울어나는 동안 풍요와 다산의 상징답게 턱없이 많은 가지를 내뻗은 매실나무 전지하다 보면 다시 12월.

그 매실주 걸러 매실 장아찌 안주 삼아 흰 눈 속에서 매화 피어나길 기다리다 보면 어느덧 춘삼월. 봄바람에 그 매화 흩날리는 모습에 취해 흥청망청하다 보면 다시 청매실 익어가는 시절! 이처럼 매실농사는 3개월을 단위로 새로운 설렘 거리를 제공해준답니다!

이런 설렘의 기다림이 없다면 우리의 삶이 얼마나 팍팍할까? 오아시스 없는 사막을 아무런 기약도 없이 터덕터덕 걸어가는 꼴이 아니고 무엇이란 말인가?

이를 피하기 위해서라도 기다릴 거리들을 하나하나 마련해 둘 일입니다. 제가 북한어린이 돕기 모금운동을 펼치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입니다. 매월 모금액 쌓여가는 것을 바라보며 모금현황 보고드릴 날을 기다리는 것, 여간 쏠쏠하고 재미 진 일이 아닙니다. 매실 익어가길 기다리는 것에 비길 일이 아니라는 말씀입니다.

나름으로 기다릴 거리가 있는 사람은 여유로울 수 있습니다. 초초해 하며 남의 눈치를 살피지도 않으며 조급하게 굴며 스스로 자신의 성정을 강퍅하게 만들지도 않습니다. 안빈낙도(安貧樂道), 바로 그런 경지에 이를 수 있는 것입니다.

12세기 초 이자현(李資玄)이라는 선비가 있었답니다. 이 분은 나라의 음악을 관장하는 대악서(大樂署)라는 높은 지위에 올랐지만 홀연히 벼슬을 버리고 청평산(淸平山)에 들어가 자연에 묻혀 거문고를 타며 살았습니다. 그분의 시 '낙도음(樂道吟)'에 이르되, 다음과 같이 말하였습니다.

한 곡조 타도 무방하지만 不妨彈一曲
알아들을 사람이 너무 적구나 祈是小知音


도를 즐기며 살아가는 이의 현묘한 경지를 이해하는 사람이 많지 않음을 탄식하는 내용인가? 아니 스스로 자신의 처지에 만족하며 홀로 그 고고한 경지를 즐기는 흥취를 읊은 것이라 해야겠지요.

황병기 선생의 최근 작품에 같은 이름의 거문고 독주곡이 있습니다. 낙도음, 굳이 풀자면 '도를 즐기는 이의 읊조림' 정도가 아닐까요? 세속의 흐름에 굴하지 않고 독특한 음악 세계를 열어가고 있는 황병기 선생, '소엽산방' 이후 오랜만에 접하게 되는 거문고 독주곡입니다. 4악장으로 이루어진 꽤 긴 곡입니다.

거문고 연주는 서울시림국악관현악단의 부수석인 허윤정이 맡았는데, 그의 첫 음반 '일곱개의 시선'에 실려 있습니다. 황병기 선생의 심오한 여유와 허윤정의 부드러우면서도 깊은 손맛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 연주가 아닌가 합니다.

이 곡 들으시며 무더위마저 즐길 수 있는 너그러움 키워 가시기 바랍니다.

덧붙이는 글 | 음악은 http://e450.chonbuk.ac.kr/~leecm/bbs/zboard.php?id=notice&no=97 에서 들으시기 바랍니다.

덧붙이는 글 음악은 http://e450.chonbuk.ac.kr/~leecm/bbs/zboard.php?id=notice&no=97 에서 들으시기 바랍니다.
#황병기 #허윤정 #거문고 #낙도음 #이자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는 전주를 가장 한국적인 도시, 우리의 자랑스러운 전통문화가 살아숨쉬는 곳으로 만들어 가기 위해 애쓰고 있는 사람입니다. 오마이유스를 통해 우리 전통문화의 아름다움과 살기좋은 전주의 모습을 홍보하고 싶습니다. 아울러 제가 친구들에게 이메일을 통해 보내주는 음악편지도 연재하고 싶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제발 하지 마시라...1년 반 만에 1억을 날렸다
  2. 2 아파트 놀이터 삼킨 파도... 강원 바다에서 벌어지는 일
  3. 3 이성계가 심었다는 나무, 어머어마하구나
  4. 4 시화호에 등장한 '이것', 자전거 라이더가 극찬을 보냈다
  5. 5 7년 만에 만났는데 "애를 봐주겠다"는 친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