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6월 서울 용산 국방부 앞에서 열린 평택미군기지 확장 반대 집회에 참석한 한총련, 민주노동당 학생위원회 등 소속 대학생들.오마이뉴스 권우성
실제 정당지지율이나 대선 후보 지지율과 달리 국가보안법 등 개인의 사고를 억압하거나 호주제·혼전성관계·성평등·조직생활에서 개인의 권리 등의 이슈에선 가장 진보적 입장을 취하는 것이 오늘날 대학생이다.
가만히 살펴보면 현재 대학생이 추구하는 진보의 가치는 '자유주의'에 가깝다. 어떤 정치를 지향하건, 결코 변하지 않는 뚝심을 30·40대는 '신념의 강자'로, 대학생들은 '구태의연함'으로 받아들인다.
이런 현상에 대해 대학시절이 어느 때보다 격렬했고 자기희생적 삶으로 가득했던 30·40대 선배들은 난감해 한다.
청년실업 확산과 폭발적 등록금 인상 등 대학사회의 모순이 어느 때보다 심화되고 있는데도 대학생운동은 '과거의 영광'을 되살릴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간혹 사회문제와 관련된 집회에서도 예전과 같은 '학생 대오의 물결'을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대학생의 모습이 왜 이렇게 변한 것일까?
이에 대한 해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명확하게 정리되지도 않은 진보와 보수의 잣대를 들이대고 대학생의 현재를 평가하기보다 대학사회에 몰아닥친 근원적인 변화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오늘의 대학생이 80년대의 대학생과 달라진 것은, 오늘의 대학이 80년대의 대학과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이 근원적인 변화는 '대학의 신자유주의화'로 설명할 수 있다. 대학이란 공간에는 우리 사회 그 어느 영역보다 먼저 신자유주의적 광풍이 몰아쳤다. 급격한 구조적 변화는 오늘의 대학과 대학생의 모습을 80년대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으로 바꿔 놓았다.
이제 90년대 중반 이후 대학생이 직면한 구조적 변화의 실체가 무엇인지, 또 이를 통해 대학과 대학생이 추구해야 할 대안적 방향이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자.
대학의 구조변화 신호탄, 5·31 교육개혁안
대학과 대학생의 사회적 지위가 급격한 변화를 경험한 것은 90년대 중반이다. 이런 변화의 신호탄을 쏘아올린 것은 김영삼 정부가 발표한 '5·31교육개혁안'이었다.
'5·31교육개혁안'은 교육경쟁력 강화가 국가경쟁력 강화라는 시각에 입각하여 세계화시대에 걸맞은 개혁·개방을 추구한 것이다. 그 핵심 전략은 '공교육 시장화(marketizing)'와 '학교 민영화(privatization)'에 있다.
공교육 시장화는 학교와 교원을 '교육서비스'의 공급자로, 학생·학부모·기업을 소비자로 보는 접근방식으로 공교육체제 내의 비용-편익의 효율성을 제고한다는 것이다.
특히 학교와 교원 등 공급 측면에 시장적 경쟁조건을 마련함으로써 교육 서비스의 질을 제고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고, 소비자 측면에서 양질의 교육과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것을 공교육체제에 시장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데 필수 조건으로 설명했다.
학교 민영화 전략은 학교운영을 정부가 독점할 게 아니라 민간에 맡겨서 그 효율성을 극대화하자는 구상으로 공기업 민영화 정책과 일맥상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