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펄프 노조 사측 집중교섭 공개 제안

사측 "회사도 바라는 것으로 환영"

등록 2007.09.18 19:29수정 2007.09.18 19:31
0
원고료로 응원

법정관리업체인 동해펄프 노조(위원장 권대환)는 18일 사측에 사태해결을 위해 시간, 장소 군분없이 밤샘교섭을 공개 제안했다.

 

노조는 이날 오전 울산시청 프레스룸에서 파업사태를 조기에 해결하고 110만 울산시민이 염원하는 노사안정을 지켜내기 위해 명절연휴 전까지 집중교섭을 사측에 공개제안 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사측이 직장폐쇄에 이어 공격적으로 파업에 대한 손실을 노조에 전가하는가하면 기존에 제시했던 제안보다 더 후퇴한 조건으로 업무복귀를 주장하고 있다"며 "사측은 고통부담을 노조에게만 전가하려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사측은 교섭은 안중에도 없다"며 "교섭에 있어 산업은행 이사출신인 법정관리인이 권한이 없어 나오지 못한다는데 채권단인 산업은행이 직접 교섭에 나서 진지하게 대화하자"고 말했다.

 

이들은 행정당국과 시민단체에게 "기업유치 뿐만아니라 건전한 기업운영과 사회적 책임을 다 할때 행복한 울산이 되는 것"이라며 '행복도시 울산만들기 범시민협의회' 등이 나서줄 것을 촉구했다.

 

노조는 "이번 집중교섭 제안에 대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이후 모든 책임은 사측과 채권단에 있음을 밝힌다"며 "사측과의 성실교섭을 응하지 않은 것과 채권단의 불순한 자료들을 공개하겠다"고 경고했다.

 

동해펄프 노사는 지난 5월22일 올해 임단협을 위한 노사 상견례 이후 모두 9차례에 걸쳐 교섭을 가졌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해 노조가 지난달 21일 전면파업에 돌입하자 지난 4일 사측이 직장폐쇄로 맞서면서 사태가 장기화로 이어지고 있다.

 

노조는 올해 임단협 요구안으로 2005년 삭감한 상여금 삭감분 400% 및 학자금 삭감분 50% 원상회복, 기본급 대비 9.3%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는 반면 사측은 당초 상여금 200% 인상, 성과금 100% 지급 등의 안을 제시했으나 최근 교섭에서 상여금 200%만 인상하겠다는 입장이다.

 

동해펄프 노조 파업에 따른 회사의 입장

 

동해펄프 사측은 지난해 3월 약 700억원의 채무탕감으로 겨우 파산을 모면한 동해펄프의 노조가 과도한 임금인상을 요구하며 전면파업을 해 법정관리기업 노조의 극심한 도덕적 해이가 문제다고 주장했다. 또 노조의 공개적 협상제안은 회사도 바라는 것이라서 언제든지 환영한다고 밝혔다.

 

사측은 따르면 회사는 1997년 IMF의 경제적 국난속에서 국제펄프가격의 폭락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 및 과다한 차입원리금 상환능력 상실 등으로 1998년 4월 최종 부도사태를 거쳐, 1999년 9월 국민의 혈세를 밑거름으로 기업의 회생을 약속하는 법정관리체제에 이르게 됐다.

 

이후 2개년도 반짝 흑자와 지난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연속적자를 거듭하는 동안 누적된 경영난 가중으로 급기야 2005년 도래한 정리채무 원리금 약 507억원의 상환마저도 불가능해 재차 파산위기에 직면하기도 했다.
 

이러한 일련의 힘든 회생과정과 경영위기 재발 방지를 위해 회사는 우리가 처한 현실과 앞으로 함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으나, 노조측은 2005년도 구조조정전으로의 원상회복만을 주장하여 구조조정 당시 삭감된 상여금 200%(600%→400%)와  복리후생비 200% 복원 및 각종 수당의 원상회복과 함께 기본급 9.3% 인상을 요구한 반면, 회사는 법정관리 회사로서의 입장과 금년도 경영실적을 고려, 상여금 200% 인상과 성과급 100%를 제시했다고 전했다.

 

사측 관계자는 "회사는 노조측의 요구안을 수용할 경우 년간 약 100억원의 원가상승 요인이 작용하여 경영목표 차질과 채권자 및 주주의 희생으로 연명하고 있는 법정관리기업의 도덕적 해이라는 사회적 문제가 우려되며 여론의 질타는 물론 어둡고도 긴 터널을 이제 갓 빠져나온 지금 과거로의 회귀는 안타까운 심정이다"고 말했다.

2007.09.18 19:29 ⓒ 2007 OhmyNews
#동해펄프 #제지산업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참사 취재하던 기자가 '아리셀 유가족'이 됐습니다
  2. 2 김흥국 "'좌파 해병' 있다는 거, 나도 처음 알았다"
  3. 3 23만명 동의 윤 대통령 탄핵안, 법사위로 넘어갔다
  4. 4 김건희 여사 연루설과 해병대 훈련... 의심스럽다
  5. 5 [단독] '윤석열 문고리' 강의구 부속실장, 'VIP격노' 당일 임기훈과 집중 통화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