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지역 아파트 분양시장 침체 '극심'

공급과잉 미분양 물량 적체...'자초한 불행'

등록 2007.11.06 14:54수정 2007.11.06 14:52
0
원고료로 응원
실수요자 발길도 끊어져...'분양가 추가하락' 관망세
'e-편한세상 3·4차' 1882가구 분양에 달랑 66명만 청약

양산 신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한 아파트 분양시장에 극심한 침체상황이 이어지고 있어 가뜩이나 불황에 시달리고 있는 지역건설업계에 시름을 더 하고 있다.

올 초까지만 해도 ‘부산경남지역의 분당’으로 한껏 성가를 올리던 것과 비교하면 너무도 대조적인 상황.
a

양산 신도시지역 아파트 분양시장이 극심한 청약부진을 겪고 있다. 이번에 청약미달사태를 빚은 e-편한세상 3·4차 조감도. ⓒ 최용호


특히, 물금택지지구에 분양한 e-편한세상 3·4차는 최근 1·2·3순위 1882가구의 청약신청을 받았으나 달랑 66명(1순위 1명, 3순위 65명)만 청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500가구 이상의 대단지로 지난 9월 이후 도내에서 청약가점제가 처음 적용된 이 아파트는 공공택지에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기 전인 지난 2005년 12월에 사업승인을 받아 전매제한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청약률이 낮게 나와 부동산업계에 큰 충격파를 던져주고 있다.

이처럼 극도로 저조한 양산지역의 청약결과를 두고 부동산 전문가들은 한결같이 ‘실수요자들의 발길이 끊어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즉, 투자수요도 전무한 시장상황에 부양가족수·청약통장 가입기간·무주택기간 등 당첨확률이 높은 실수요자마저도 청약에 응하지 않아 엎친 데 덮친 격이 됐다는 것이다.

양산지역 아파트 분양시장의 이같은 침체국면은 크게 두 가지 요인이 있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우선 노무현정부의 청약가점제 도입과 민간택지 아파트 분양가상한제 시행 등에 따른 ‘분양가 추가인하’에 대한 실수요자들의 기대심리와 관망자세 때문이다.

S부동산 이임순 실장에 따르면 “청약가점제가 도입된 이후 실수요자들에게서 청약을 잘못하면 청약통장의 기득권을 잃어버릴 수 있다는 우려가 번지고 있다”며, “실수하면 3~5년 동안 재당첨 제한 기간에 묶이기 때문에 실수요자들이 청약통장의 사용을 주저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도권 언론에서도 연일 서울?경기지역의 청약부진 상황을 보도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부자들도 부동산을 포기했다”며 얼어붙은 투자심리에 대한 자조 섞인 분석들이 터져 나오고 있다. 또한 인근지역인 부산에도 미분양 아파트가 넘쳐나고, 마이너스 프리미엄 분양권도 시장에 쏟아지고 있어 지금의 침체국면이 쉽게 해소되지 않을 전망이다.

e-편한세상 분양팀의 한 관계자는 “현재 4순위 신청자가 청약통장을 사용하지 않고도 동호수를 마음대로 골라가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같은 상황은 이미 예상했던 결과”라고 애써 태연한 척 했다.

그러나 무엇보다 심각한 요인은 공급과잉에 따른 미분양 물량 적체 문제. 지난 8월 양산지역은 투기과열지구에서 풀리는 호재를 만났음에도 분양시장에 침체가 온 것은 생각보다 부진의 늪이 깊다는 방증.

부동산 114에 따르면 지난 9월 현재 양산의 분양아파트 미분양 물량은 2165가구로 도내 미분양 물량의 16.9%를 차지해 3343가구를 기록한 김해시 다음으로 많다.

특히 악성 미분양 물건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 618가구는 도내에서 양산이 가장 많아 전체의 37.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전문가 서아무개(55)씨는 “최근 양산지역 아파트 분양시장에서 불고 있는 거센 찬바람은 시장상황을 제대로 예측하지 못하고 부산대 이전과 지하철 양산선 개통 등 행정당국의 장밋빛 청사진과 과장된 선전구호에 휩쓸려 수요에 비해 지나치게 과잉 공급했기 때문”이라며 “앞으로는 실수요에 맞춘 공급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청약 미달사태 #양산 #아파트 분양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7년 만에 만났는데 "애를 봐주겠다"는 친구
  2. 2 아름답게 끝나지 못한 '우묵배미'에서 나눈 불륜
  3. 3 스타벅스에 텀블러 세척기? 이게 급한 게 아닙니다
  4. 4 윤 대통령 최저 지지율... 조중동도 돌아서나
  5. 5 [단독] 김건희 이름 뺀 YTN 부장 "힘있는 쪽 표적 될 필요없어"
연도별 콘텐츠 보기